| 분야 | 생활·민속/생활 |
|---|---|
| 유형 | 의복/의복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의복 |
|---|---|
| 재질 | 명주 |
길림성 지역에서 양쪽에 선단이 있어 둘러입게 만든 치마.
긴 길이로 인해 한인 여성들 사이에서 꼬리 치마로 불린 치마의 일종이다. 치마허리 양 단에 끈이 달려있고 치마단 밑에 작게 주름을 잡았으며 넓고 긴 치마폭이 달려 하체를 완전히 감쌀 수 있게 만든 치마이다. 꼬리치마는 좌우측에 끈을 덧대어 허리에 감아 두르고 한쪽 치마끝을 끌어올려서 허리끈에 끼워 입을 수 있도록 만들었다. 때문에 ‘걷울치마’, ‘걷는치마’라고도 부른다.
꼬리 치마 허리에는 조끼가 달린 것과 달리지 않은 것 두가지의 형태가 있는데, 달리지 않은 것은 따로 ‘주름치마’라고 부른다. 여자들은 무명으로 제작한 여덟 폭 치마를 많이 입었으며 열 두 폭이나 열 네 폭까지 넓게 해 입는 경우도 있었다. 계절에 따른 꼬리치마의 종류로는 홑치마, 겹치마, 솜치마 등이 있다. 홑치마는 치마폭이 넓고 길며 겹치마는 얇은 비단에 명주로 안감을 대었다. 솜치마는 비단에 솜을 넣어 만든 것이다. 꼬리치마 중 치마 아랫단에 화려한 수를 놓거나 금박 장식을 한 것을 스란치마라고 하는데, 신분이 높은 양반집 부녀자들의 복장이다.
고구려 고분 벽화를 살펴보면 허리에만 주름이 잡히고 아래로 내려오면서 자연스럽게 퍼지게 만든 치마가 등장한다. 이를 폭치마라 하는데 바로 꼬리 치마의 원형으로 판단된다.
꼬리 치마는 한인을 상징하는 치마로 지난날 일상복으로 착용 되었으며 명절 때도 많이 입었다.
꼬리 치마는 여성들 전통 복장 중 가장 아름다운 치마로 명절 때 입거나 춤을 출 때도 갖추어 입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