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色동 치마 |
|---|---|
| 분야 | 생활·민속/생활 |
| 유형 | 의복/의복 |
| 지역 |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의복 |
|---|---|
| 재질 | 비단 |
중국으로 이주한 한인이 허리부터 아랫단까지 여러 가지 색을 줄지어 배합해 만들어 입은 치마.
치마는 폭을 붙이고 주름을 잡아 허리에 달아서 가슴부분에 매어 입는 여자들의 하의이다. 삼국시대 문헌에는 상(裳), 군(裙)으로 쓰이고 있는데 군의 원형은 상이다. 치마는 주로 여인들이 착용하는 것으로서 군은 상보다 폭을 더해서 미화시킨 것이다. 고구려 벽화 중 쌍영총 벽화의 여인도에서 보이는 상은 길이가 땅에 끌릴 정도로 길고 허리에서 치마단 끝까지 잔주름이 고루 잡혀 있으며 아랫단 끝에 연을 두르고 있다. 상은 삼국시대까지는 여자의 전용물이었으나 통일신라가 당나라 복식을 받아들여 착용하면서 남자들도 상의하상인 저고리와 치마가 붙은 옷을 입게 되었다.
고구려고분 벽화에 여러 색으로 채색된 치마를 입은 여인들이 생동적으로 표현된 것과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무지개치마를 만들어 입었다는 기록이 있다. 벽화를 통해서 볼 때 여자가 바지를 착용한 모습과 상(裳)을 착용한 모습을 모두 볼 수 있는데 이것으로 여자는 바지와 치마를 혼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무용총 주방도에 치마 아래로 속에 입은 바지가 보이기도 한다. 의례용으로 성장(盛裝)할 때는 치마를 반드시 입었다. 무지개치마는 치마허리에서 아랫단까지 여러 가지 색을 무지개 모양으로 아름답게 나타나도록 장식한 주름치마였다. 『삼국유사』에 “하늘의 선녀를 불러 무지개치마를 짰다”는 내용의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것을 통하여 삼국시대에 여성들이 무지개치마를 입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색동 치마의 구체적인 모양은 안악1호분의 서쪽벽에 그려져 있는 여인이 입은 치마와 덕흥리고분 널길의 벽화에서 시녀들이 입은 치마, 수산리고분 벽화의 서벽에 그려진 여인이 입은 치마들을 통하여 알 수 있다. 덕흥리고분 벽화의 색동 치마에는 치마허리에서 아랫단까지 흰색, 황색, 푸른색, 자주색 등 네 가지 색을 각기 일정한 폭으로 규칙적으로 반복하여 배합하였고, 수산리고분 벽화의 색동 치마에도 같은 방법으로 푸른색, 감색, 흰색, 자주색 등 네 가지 색을 배합하였다. 이처럼 어떤 종류의 색깔이든 네 가지 색깔을 배합한 것이 색동 치마의 공통적인 현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