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야 | 생활·민속/민속 |
|---|---|
| 유형 | 놀이/놀이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민속놀이 |
|---|---|
| 노는시기 | 정월 대보름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9년 |
중국 연변 지역의 한인들이 편을 나누어 윷을 던져 승부를 겨루는 놀이.
윷놀이는 사희(柶戱) 혹은 척사(擲柶)라고도 한다. 네 개의 윷가락과 말, 말판을 활용하여 진행하는데, 정월 초하루부터 대보름 사이에 집안이나 마을에서 모두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이다.
윷놀이는 한민족의 놀이 가운데서도 역사가 상당히 긴 놀이이다. 중국의 고대 문헌인 『주서(周書)』와 『수서(隋書)』에 의하면 한민족은 백제 시대부터 이미 윷놀이를 즐겼다고 한다.
네 개의 윷가락이 바로 놓이고 뒤집어지는 것에 따른 도·개·걸·윷·모의 이름은 옛날 부여의 관직명인 ‘구가(狗加)’·‘마가(馬加)’·‘저가(猪加)’·‘우가(牛加)’·‘대사(大使)’ 등에서 따 왔다는 설도 있고 짐승들이 달리는 속도에 따라 돼지는 도, 개는 개, 양은 걸, 소는 윷, 말은 모라는 의미에서 왔다는 설도 있다.
윷에는 장작개비 모양의 가락윷, 새끼손가락 굵기의 나무를 1~2㎝ 정도로 깍아 만든 밤윷, 콩알이나 팥알을 쪼개거나 금을 그어 만든 콩윷이 있다. 윷놀이는 가정집이나 사람이 많이 모이는 건물 내에서 진행되기도 한다.
윷을 위로 던져 떨어졌을 때 세 개가 바로 놓이고 한 개가 뒤집어지면 ‘도’, 두 개가 바로 놓이고 두 개가 뒤집어지면 ‘개’, 한 개가 바로 놓이고 세 개가 뒤집어지면 ‘걸’, 네 개가 모두 뒤집어지면 ‘윷’ 혹은 ‘슝’, 네 개가 모두 바로 놓이면 ‘모’라고 한다. ‘윷’이나 ‘모’가 나오면 한 번 더 던질 수 있다. 윷가락을 던져 나오는 점수에 따라 말판에 말을 운용하되, 도는 한 칸, 개는 두 칸, 걸은 세 칸, 윷은 네 칸, 모는 다섯 칸을 움직인다.팀 별 네 개의 말을 운용하며 모든 말이 말판에서 먼저 빠져 나오는 팀이 승리한다.
윷놀이는 모두가 즐길 수 있는 대중오락으로 승부를 짓는 과정에 변수가 많아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한다.
윷놀이는 2009년에 중국의 성급 무형 문화재로 인정되었다. 매 해 정월 보름이 되면 한인들은 집집마다 둘러 앉아 윷놀이를 하며 또 마을에서는 노인회를 중심으로 사람들을 조직하여 윷놀이 시합을 개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