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三寡婦 祈雨祭 |
|---|---|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 유형 | 의례/제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민간 신앙 |
|---|
길림성(吉林省)연변(延邊) 지역의 한인 마을에서 가물 때 비를 오게 해달라고 비는 제사.
기우제(祈雨祭)는 우제(雩祭), 무제(舞祭)라고도 한다. 기우제에는 국가적 차원에서 지내는 것과 민간에서 지내는 기우제가 있었다.
삼과부 기우제는 고대부터 계속 되어 온 한국 전통의 의례 행위이다. 삼국 시대에는 국가적인 행사로 연행되었는데, 주로 명산대천(名山大川)이나 시조묘(始祖墓)에서 거행되었다. 고려 시대에 이르러서는 도교의 도사(道士)와 승려, 무당을 모아 지내는 방식으로도 연행되었고 조선 시대에 와서는 주로 유교식 제사로 치러졌다.
민간에서는 가뭄이 들어 어려움이 생길 때 마을의 구성원들이 상의하여 기우제를 연행할 사람을 선정하고 마을의 하천이나 산에서 제물을 진설하고 기우제를 거행하였다.
한인들의 기우제 형태로는 삼과부 기우제를 들 수 있다. 과부들은 눈물이 헤프므로 각기 성이 다른 과부 세명을 모아 제사를 지내도록 하는 것이다.
나무에 짚을 감고 흙을 발라 청룡이나 황룡 형상을 만들어 제를 지냈다.
세명의 과부가 강변에 제물을 차려 놓고 솔비로 나무 솥뚜껑을 씻으면서 ‘비야 비야 오너라. 물떠먹고 장구치며 오너라’ 하는 소리를 반복적으로 외친다.
오늘날 한인 사회에서 삼과부 기우제를 지내는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 농촌에서는 가뭄이 들 때 간혹 지내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