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祭禮 |
|---|---|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평생 의례 |
|---|
중국 연변 지역의 한인 사회에서 죽은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의례.
제례는 죽은 사람의 영전이나 위패, 신주 또는 무덤 앞에서 제물을 차려놓고 격식에 따라 예를 올리는 의식이다.
한민족의 제례가 격식화 된 것은 주자의 『가례(家禮)』가 전래된 고려 말 부터이고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는 더욱 규범화 되었다. 그러나 그 절차가 복잡하고 어려워 서민들이 지키기에는 어려움이 따랐던 것이 사실이다. 중국으로 이주한 한인들도 그 예법을 그대로 지키거나 후대로 전수한 것은 아니다. 자신의 생활 실정에 맞추어 변용시켜 왔다.
제례에는 우제(虞祭)·소상(小祥)·대상(大祥)·기제(忌祭)·졸곡(卒哭)·담제(禫祭)·생일 제사·명절 제사·삭망 제사(朔望祭祀) 등이 포함된다. 제사 방식으로는 집에서 지내는 것과 묘소에서 지내는 것이 있다. 집에서의 경우에는 설주·강신(降神)·진찬(進饌)·초헌(初獻)·아헌(亞獻)·종헌(終獻)·유식(侑食)·합문(闔門)·계문(啓門)·사신(辭神) 등의 제차로 진행된다. 묘소에서 지낼 때에는 먼저 후토제[산신제]를 지낸 다음 묘제를 지낸다. 묘제를 지내는 방식에는 진찬, 초헌, 고축, 아헌, 종헌, 우식, 고별(告別) 등 절차가 포함된다.
제례는 자손들이 세상을 떠난 부모와 조상들에게 올리는 예로 부모에 대하여 보은하고 효심을 표현하는 것이다. 현재 한인[조선족] 사회에서 전통적인 제례 관념은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 보통 돌아가신 뒤 제사를 모시는 것은 3년 이상 하지 않고 제사는 큰 아들의 집에서 지내는 것이 보통이며 남녀를 불문하고 가족과 친지들이 모두 참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