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東北 軍政大學 吉林分校 |
|---|---|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 지역 | 중국 |
| 시대 | 현대/현대 |
| 개교 시기/일시 | 1946년 10월 18일 |
|---|---|
| 성격 | 군사학교 |
| 설립자 | 중국 공산당 |
1946년 10월 18일 중국길림성 용정에서 중국공산당이 군사간부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한 정치군사학교.
군정대학은 중국공산당이 직접 군사, 정치간부양성학교로 창설하였다. 양성대상에는 부대, 기관간부, 고급간부외에도 사회청년지식층 들이 포함되였는데 정치, 군사 교육을 위주로 하였다.
길동군정대학이 1946년 1월 6일 연길에서 창립되었다. 연변이란 대후방건설을 위하여 당시 길동군구 사령관 주보중이 교장으로 임명되었다. 학생수는 500명이었는데 그중 380명이 조선인이었다. 조선의용군은 벌써 각지에서 조선인 군정간부학교와 교도대를 창건하여 군정간부를 양성하였다. 1946년 1월 14일, 조선의용군 제7지대가 세운 군정학교가 바로 화전군정학교였다. 조양천교도대는 원 태항산조선혁명군군정학교 간부반 학생들을 토대로 1946년 1월16일 조양천에서 창립되였다. 초기 학생들은 연변대학을 지망했던 청년들이였다. 반년도 안되는 사이에 학생수가 1,300명으로 늘어났는데 모두 조선인이였다.
1946년 6월 길동구에 있는 모든 군정학교들을 합병하여 동만분교로 통칭하였다. 동만분국이 길림성위로, 길림성군구 사령관 주보중이 교장으로, 진정인이 정치위원으로, 도석도가 부교장 겸 당위서기로 임명되였다. 길림성위에서는 용정의과대학 대리관리와 고급연구반 설립을 길림분교에 요구하였다. 그리하여 동북군정대학은 당시 길림성의 종합성간부학교가 되였다.
1946년 6월 역시 연길로 이전해온 동북군정대학 동만분교에 조양천교도대, 길동군정대학, 화전군정대학을 합병하여 3개 대대로 편성하였다. 합병초기 학생이 2,600여 명 이었는데 제1대대 520명이 한족으로 전체 학생의 71.5%를 차지하였고 제2대대, 제3대대는 전부 조선인학생이었다.
성위 지시에 따라 그후 룡정의과전문학교를 동북군정학교 길림분교 부속의학원으로 개칭한 후 선발된 300명 학생도 모두 조선인이었다. 성위에서 대리위탁 설립한 고급연구반에도 116명 학원중 114명이 조선인이었다. 동북군정대학 길림분교에 몇몇 군정학교가 합병되면서 학원들이 시종 다수를 차지하였다.
군정대학은 중국공산당이 직접 군사, 정치간부양성학교로 창설하였다. 양성대상에는 부대, 기관간부, 고급간부외에도 사회청년지식층 들이 포함되였는데 정치, 군사 교육을 위주로 하였다.
중국공산당이 창설한 첫 군정학교로는 일찍 중앙쏘베트구에서 창설된 중국공농홍군대학이다. 홍군 대회합후 섬북 보안현에 중국공농홍군군정대학을 설립, 이는 모택동, 주덕 등 중앙지도자들이 직접 가서 강의하던, 당시 군사, 정치 간부양성의 최고학부였다. 항일전쟁시기에 들어서자 홍군대학은 연안으로 본교를 옮기고 중국인민항일군정대학으로 개칭(제3기부터는 태항산으로 옮김), 항일 후방근거지에도 항일군정대학 분교들이 설립되였다.
1948년 3월, 군정대학 길림분교는 길림으로 옮겨갔다가 동북야전군총사령부의 지시로 8월 본교와 합병하였고 치치할로 학교를 이전하였다. 동북군정대학 본교와 합병된 후 길림분교는 동북군정대학 제4퇀으로 편성되였다. 1948년 11월 동북이 해방되자 동북군정대학은 남하, 제4퇀이 남아 계속 학교를 유지하였는데 교명을 중국인민해방군동북군사정치학교(동북군정학교로 약칭)로 개칭하였다. 2년 4개월간에 동북군정대학 길림분교는 화전에서 연길시 북대영에로, 왕청현 라자구로, 다시 연길로, 룡정으로, 길림으로, 치치할에로…8차에 걸쳐 이전하면서 4기에 걸쳐 군정간부 4,800명을 양성하였다, 그중 조선인이 2,580명 이었다. 동북군정학교의 특징은 학생들이 한족, 조선인으로 구성되었고 초기인 연변에 있을 당시 조선인 군정간부양성을 위주로 한것이다. 1950년 중앙군사위원회에서는 전국의 군사학교들을 통일로 편제(編制), 동북군정학교는 중국인민해방군 27보병학교로, 1953년 중국인민해방군 제7보병학교로, 그후 치치할보병학교로 개칭되였고 1959년 금주로 옮겨져 교명도 중국인민해방군금주보병학교로, 심양군구보병학교로 바뀌였다. 1969년 문화대혁명시기 중지되였다가 문화대혁명 후 대련육군보병학교로 개칭(주소: 대련 금현) 되였다. 이것이 바로 오늘의 중국인민해방군 대련육군학원이다. 동북군정대학 길림분교 및 그 연변(延邊), 10년동안 동북군정대학은 1만 2,000명(길림분교 4,800명) 군사간부를 양성하였다.
군사교육 위주, ‘학습. 전투정신, 간고분투, 무사공헌, 희생정신’을 교육방침으로 하였다. 철학, 정치, 경제, 과학 군사이론과 실기 등의 교과를 가르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