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장춤」

한자 武裝춤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작품/무용과 민속극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군무
형성 시기/일시 1930년대
정의

1930년대 혁명가요 「총동원가」에 맞추어 창작한 군무.

구성 및 형식

「무장춤」은 하모니카 반주와 노래 방창에 맞추어 추는데 가볍게 발을 구르거나 여덟 소절에 한 번씩 순간적인 조형을 이루었다가 그 다음 춤동작으로 넘어간다. 무용 구도에서 횡선, 종선, 굴곡선, 사선 등이 다양하게 결합되어 배합된 것이 특징이다.

내용

1930년 동만 유격지 대원들이 공연한 군무 「무장춤」은 가곡 「총동원가」에 근거하여 창작한 작품이며 유격대원들의 들끓는 전투 의지와 낭만적인 생활 정서를 반영한 작품이다.

의의와 평가

「무장춤」은 선동성에 치우쳐 하나의 예술적인 무용 작품으로서의 완미성이 결핍되고, 춤으로서의 성격이 미약한 약점을 보이긴 했지만 무용이 생활 투쟁과 결합되고 대중과 결합하는 면에서는 일대 비약을 보였다.

참고문헌
  • 리애순·최호욱, 『예술사』(민족 출판사, 1994)
  • 최봉석, 『중국 조선족 무용론고』(연변대학출판사, 1996)
  • 강련숙, 『중국 조선족 100년 문화 예술 대사기』(길림 인민출판사, 2001)
  • 향개명·엄덕선, 『연변조선족자치주 1952-2002 문예 작품선』(연변인민출판사, 2002)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