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건

한자 金中建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종교인
성별
대표경력 원종교 창시인
출생 시기/일시 1889년 12월 6일
몰년 시기/일시 1933년
출생지 함경남도 영흥
정의

일제 강점기 만주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종교인, 민족 교육가.

개설

김중건은 일제 강점기 만주에서 활약한 독립운동가이자 원종교의 창립자이다. 원종교에 관한 많은 저술을 남겼다. 만주 여러 곳에 원종 학원을 설립하여 독립운동 인재 양성에 노력했다.

가계

김중건은 1899년 12월 16일에 함경남도 영흥군 고녕면 연동리에서 출생하였다. 김중건의 본관은 경주(慶州). 일명 소래(笑來), 호는 불폐(不吠)·연산(蓮山), 도호(道號)는 마루진·원백(元伯)이다.

활동 사항

김중건은 1908년 고향에 연명 학교(鍊明學校)를 세워 청소년에게 개화 사상을 고취시켰다. 1909년 천도교에 입교하였으며, 적극적인 항일 투쟁을 목적으로 원종(元宗)을 개창하고 각 곳에 돌아다니면서 원종의 “구세주의 사상”--“대공화 무국론(大共和無國論)”을 전파하였다. 1911년 천도교에서 출교당하였다.

1914년 김중건은 이주 한국인이 많이 사는 훈춘·안도·장백 등지를 다니면서 “원종 법회 총사”와 원종 학교를 세워 원종 사상을 선전함과 아울러 독립운동 인재를 양성하였다. 1916년 안도현(安圖縣)에 도전 학원(道田學院)을 설립하였다. 1917년 치안 유지법 위반으로 일본 경찰에 검거되었다가 이듬해 가석방된 후 여러 곳에 원종 학원을 설립하여 혁명가 양성에 노력하였다.

장백현 왕가동에 덕수 학원(德水學院)·왕가 학원(王歌學院)을 설립하였으며, 1919년 중국화룡현에서 독립운동 단체 대진단(大震團)을 조직하였으나 일제의 간도 대토벌에 의하여 실패하였다. 1920년 연길현에 지피구 학원, 1921년 이도구 학원, 국자가 남령(局子街南領)에 팔포강 학원(八浦岡學院)을 세웠다.

1922년에 다시 일본 경찰에 검거되어 중국 체류 금지 3년을 언도받았다. 1925년에 다시 만주로 건너가서, 만종 학원(萬宗學院)과 건원 학원을 합쳐 농대 학원(農大學院)을 만들었다. 그리고 종우회(倧友會)·여성 종우회 등을 조직하였다. 『새바람』을 창간하여 철학 사상에서의 종교색을 없애고 항일 혁명 사상을 고취시켰다.

1927년 또다시 일본 경찰에 검거되어 징역 5년을 선고받았다. 가석방된 후 1928년 동만주에 건너가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농촌 운동을 전개하였다. 동만주 각 지방에 농우 동맹(儂友同盟)을 조직하고, 10가 1촌(十家一村)의 이상촌을 건설해 어복촌(魚腹村) 또는 주의촌(主義村)[사상 운동의 마을이라는 뜻]이라 부르면서, 만주 영안현 팔도하자(八道河子)에 정착하였다.

1931년 만주 사변이 발발하자 주의촌 내에 조선 혁명 지휘처를 설립하고 당지 항일 구국군과 연계하면서 항일 투쟁을 진행하였다. 그러다가 구국군 내의 별동대의 좌경 노선에 의해 1933년 3월 24일 조선 공산군이광(李光)의 부대에 붙잡혀 45세에 살해되었다.

저술 및 작품

유저로 『소래집』·『천기대경(天機大經)』·『대종원부경(大宗元符經)』·『도경(道經)』·『밀거집(密去集)』·『몰나집(沒那集)』·『신강록(晨講錄)』·『연산집(蓮山集)』·『조선 헌법(朝鮮憲法)』·『조선 운동론(朝鮮運動論)』·『북만 일록(北滿日錄)』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1977년 정부에서는 김중건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2013년에는 순국선열소래김중건선생기념사업회의 주관으로 80주기 추모식과 함께 국제학술강연회가 열려 그의 민족 의식을 기렸다.

참고문헌
  • 독립운동사 편찬 위원회, 『독립운동사(獨立運動史)』 10(1978)
  • 박창욱, 『중국조선족력사연구』(연변대학출판사, 1996)
  • 국가 보훈처, 『대한민국 독립 유공 인물록(大韓民國獨立有功人物錄)』(1997)
  • 중국조선민족력사발자취총서편집위원회, 『불꽃』(중국조선민족발자취총서 2), 민족출판사, 1999)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