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土城屯 古城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조양천진 팔도촌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 성격 | 성 |
|---|---|
| 양식 | 토석 혼축 |
| 길이 | 동쪽 성벽 약 440m|북쪽 성벽 약 520m |
| 둘레) | 둘레 길이는 약 1,880m |
| 현 소재지 |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조양천진 팔도촌 토성둔 |
| 원소재지 |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조양천진 팔도촌 토성둔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조양천진(朝陽川鎮) 팔도촌(八道村) 토성둔에 위치한 발해 시기의 고성.
1984년 용정시 정부가 추진한 『용정현 문물지』를 편찬하는 과정에 조사 되었다. 토성둔 고성의 평면 형태는 대체로 방형이며, 방향은 178도이다. 동쪽 성벽의 길이는 약 440m, 서쪽 성벽의 너비는 약 420m, 북쪽 성벽의 길이는 약 520m, 남쪽 성벽의 너비는 약 500m, 둘레 길이는 약 1,880m이다. 성벽은 토석 혼축이다. 지금 남아있는 성벽의 기초 너비는 7~10m, 높이는 1~1.5m이다. 성문지는 보이지 않는다. 1갈래 동서 향으로 성벽과 남북 향으로 된 성벽이 성안을 3개 구간으로 갈라놓았다. 즉 북부 2개 구역, 남부 1개 구역이다. 북부의 동구 중부에 또 장방형으로 된 성벽 두 갈래가 있는데 이 구역을 다시 3개 구역으로 구획하였다. 이런 구조는 팔련성의 구획과 아주 흡사하다. 성 안에서 연꽃 무늬 기와 조각, 지압 무늬 기와 조각, 그물 무늬 기와 조각, 니질 조두식, 아구리가 둥근 질그릇조각 등이 채집되었다.
토성둔 유적은 연길시 조양천진 팔도촌 토성둔에 위치해 있다.
토성둔 고성의 평면 형태는 대체로 방형이며, 방향은 178도이다. 동쪽 성벽의 길이는 약 440m, 서쪽 성벽의 너비는 약 420m, 북쪽 성벽의 길이는 약 520m, 남쪽 성벽의 너비는 약 500m, 둘레 길이는 약 1,880m이다. 성벽은 토석 혼축이다.
2011년 현재 토성둔 고성은 이미 엄중히 파괴되었다. 서쪽 성벽과 남쪽 성벽의 서부는 이미 큰길로 변하였다. 동쪽 성벽과 북쪽 성벽은 잘 보존되어 있으나 성벽 위에 후세에 모아놓은 성돌 들이 무너져 있다. 성문지는 찾을 수 없으며 성안도 수전으로 개간되었다.
토성둔 고성은 연변조선족자치주일대 발해시기 역사와 성곽 연구에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