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古長城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의란진 태암촌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 성격 | 성곽 |
|---|---|
| 양식 | 토석혼축 산성 |
| 크기 | 높이 70~80㎝, 너비 1.8m, 길이 15㎞ |
| 소유자 | 국유 |
| 관리자 | 연길시 |
| 현 소재지 | 연길시 의란진 태암촌 |
축조 연대에 대하여 대체로 고구려 시대 읍루인들의 남침을 막기 위하여 축조되었다는 설과 발해 시대 중경(中京)을 보호하기 위해 축조되었다는 설이 있고, 동하국 시대의 포선만노(浦鮮萬奴)가 몽골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수축하였다는 설도 있다.
조사 자료에 의하면 태암(台岩) 고장성은 서쪽으로 용정시(龍井市) 팔도향(八道鄕) 쌍봉촌(雙鳳村)에 이르며, 동쪽으로는 연하촌(煙河村) 북산(北山) 돈대(墩台), 연길시청차관 유지(遺址)를 경유하여 도문시(圖們市) 장안진(長安鎭)계림북산에 이르는데 그 총 길이가 15㎞이다.
토축, 석축, 토석 혼축 등의 형태가 있다. 길이가 약 15㎞, 너비는 약 1.8m, 잔존 높이가 약 70∼80㎝이다. 성은 평봉산으로부터 동남쪽으로 뻗어나가다가 태암 6대 북쪽 하곡 근처에서 끊어진다. 대석립자 사이 산 어귀 남쪽에 동서 주향으로 된 석벽이 있는데 길이가 약 300m이다. 산 어귀 중부는 남향의 깊은 골짜기인데 너비가 약 50m이다. 골짜기 동쪽 석벽 북쪽에 돌담이 있는데 동서 길이가 약 9m, 남북 너비가 약 12m이다. 돌담은 지금 대부분 무너져 있다. 장성은 대립자 동쪽에서 다시 동남쪽으로 뻗어 나가는데 소연집하(小煙集河) 하곡에 이르러서는 그 흔적을 찾을 수 없다. 평봉산으로부터 이곳까지의 길이는 약 2.5㎞이며 대부분 토축이다. 평봉산에서 동남쪽으로 약 1㎞ 되는 산비탈에서 인공적으로 다듬은 평대 유지가 발견되었는데 동서 길이가 약 20m, 남북 너비가 약 15m이며 건축지로 추정된다. 소연집하 하곡의 서쪽에서 돈대 유지가 발견되었는데 아래 부분의 너비가 약 15m, 높이가 약 3m이다. 돈대에서 북쪽으로 약 10m 되는 곳에 동남 주향으로 된 깊은 골짜기가 있는데 소연집하 하곡 지대에까지 이른다. 그 길이는 약 50m, 너비가 7∼8m, 깊이가 2m 남짓한데 장성의 연속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