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광 고분군

한자 新光 古墳群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상세정보
성격 고분
양식 돌널무덤
크기(높이 동서 길이 300m, 남북 길이 200m
소유자 국유
관리자 연길시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80년대 초
소재지 연길시장백향신광촌 3대
정의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연길시(延吉市) 장백향(長白鄕) 신광촌(新光村) 3대에 있는 발해의 고분군.

개설

신광 고분군은 인골이 출토된 무덤도 있으나, 현재 주거지와 경작지로 변해 훼손이 심한 발해의 고분이다.

위치

신광 고분군은 연길시 장백향 신광촌 골짜기의 양측 고지와 비탈진 언덕에 있다. 신광 골짜기의 하천은 남쪽에서 북으로 흐르는데, 북쪽으로 0.75㎞ 떨어진 곳에 연길시에서 화룡시(和龍市)로 향하는 도로가 있고 동부 산턱에는 신농 벽돌 공장이 있고, 서쪽에는 연길시 12중 벽돌 공장이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신광 고분군은 1980년대 초 연변 박물관에서 조사를 시작하였다. 여기에 비교적 보존 상태가 양호한 무덤 1기가 있다. 무덤의 길이는 2.8m, 너비는 30~90㎝, 깊이는 50㎝이다. 동서북 3면의 벽은 모두 크기가 다른 돌로 쌓여 있고, 남쪽에는 돌로 쌓은 벽이 없으며, 위에는 그냥 큰 돌로 덮여 있었다. 무덤 밑에는 황갈색의 점토층이 있고 해골 6구가 있었다. 북쪽벽 밑에는 4개의 머리뼈와 여러 개의 몸 뼈가 있었는데, 중간에 있는 인골이 무덤의 주인이라고 추정된다.

형태

고분 구역은 신광촌 3대 주민의 주거지와 경작지에 있고, 동서 길이는 약 300m, 남북 길이는 200m이며, 중간 부근에는 골짜기가 있고, 골짜기 동쪽 산턱 200m 되는 곳에는 훼손된 무덤을 볼 수 있다.

출토 유물

주민들의 말에 의하면 이 고분군에서 많은 철기와 도자기 등 여러 가지 유물들이 출토되었다고 한다. 동쪽 언덕에 사는 한 농가에서 수도관을 설치할 때, 지하의 관무덤에서 많은 철촉(鐵鏃)과 철로 만든 말안장(鐵馬蹬) 등 유물들이 출토되었는데 지금은 행방을 알 수 없다.

현황

신광 고분군은 2011년 현재 몇 기의 비교적 양호한 무덤을 제외하고 대부분 훼손되었다.

의의와 평가

신광 고분군은 인골이 출토된 발해의 고분으로 발해의 유적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 길림성문물지편찬위원회 편, 『연길시문물지』(1985)
  • 『연변문물간편』(연변인민출판사, 1988)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