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오월 투쟁

한자 紅五月 鬪爭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화룡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930년 5월초
종결 시기/일시 1930년 5월말
발생|시작 장소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화룡시
정의

1930년 연변 각지의 한인이 군벌·지주 등을 상대로 벌인 민중 투쟁.

역사적 배경

1928년 「12월 테제」에 의해 조선 공산당이 해체된 후 만주 지역에서 활동하던 한인 공산주의자들은 일국일당의 원칙에 따라 중국 공산당에 가입하기 위해 실제적인 행동이 필요하였다.

경과

1930년 중국 공산당 만주성 위원회연변에서 중공 당 조직을 회복하기 위해 조선족 당원 왕경(王耿)을 연변에 파견하여 중국 공산당 연변 특별 지부 위원회를 설립토록 했다. 이후 연변 특별 지부 위원회의 지휘 하에 연변 각 현에는 농민 협회 등 단체들이 생겨나 지주와 고리대 그리고 군벌을 반대하는 투쟁을 전개하였다.

연변 특별 지부 위원회는 본격적인 투쟁을 전개하기 위해 1930년 4월 24일 5·1 투쟁 특별 위원회를 설립하여 전 조선 공산당원을 흡수하여 역량을 한층 강화하였다.

그 뒤 1930년 5월 내내 5·1 투쟁 특별 위원회의 지휘 하에 동만 각지의 농민·노동자·학생들은 반일 기치를 내걸고 파업·동맹 휴업 등을 단행하면서 붉은 오월 투쟁을 전개하였다. 특히 농촌에서 토지 혁명을 진행하면서 토호 열신들을 청산하고 쌀을 농민들에게 나누어주었다.

화룡현 약수동에서는 동북 지역에서 처음으로 소비에트 정부를 건립하고 적위대도 조직하였다. 이를 계기로 1930년 5월 30일에는 농민들 위주로 폭동을 일으켜 일본 경찰과 그 협조자들을 사살하고 일본인 공장과 학교를 파괴하였다.

의의와 평가

붉은 오월 투쟁을 통해 많은 한인 공산주의자들이 중국 공산당에 가입하였지만, 일본의 잔혹한 탄압을 받았으며 많은 지하당 조직도 폭로되어 파괴되었다.

참고문헌
  • 朝鲜族 简史 编写组,『朝鲜族 简史』(延边人民出版社, 1986)
  • 중국 조선 민족 력사 발자취 총서 편집 위원회, 『불꽃』중국 조선 민족 력사 발자취 총서 제2권, 민족출판사, 1995
  • 최성춘, 『연변 인민 항일 투쟁사』(연변인민출판사, 1997)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