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합진

한자 三合鎭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삼합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행정 지명
면적 328㎢
가구수 2,050호
인구 5,517명
개설 시기/일시 1984년
변천 시기/일시 1931년
변천 시기/일시 1937년
변천 시기/일시 1945년
변천 시기/일시 1958년
변천 시기/일시 1983년
용정시 동남부, 용정시 정부로부터 50km 떨어진 곳에 위치
정의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용정시(龍井市)에 속한 진.

개설

용정시 동남부, 용정시 정부로부터 50㎞ 떨어진 곳에 위치한 변경의 작은 신흥진이다. 삼합진은 북쪽으로 개산둔진(開山屯鎭)과 인접해 있으며 삼합진의 면적은 328㎢, 경작지의 면적은 1,080㏊이다. 이 가운데 논은 330㏊이고 밭의 면적은 750㏊이며 과수 면적은 404㏊이다. 2009년 삼합진의 농업 총 생산액은 2,723만 위안이었다. 삼합진에는 북한으로 통하는 국가 1급 개방 항구가 있다.

명칭 유래

삼합진의 명칭은 삼합사로부터 기원되었다.

형성 및 변천

1912년 12개 사(社)가 3개 사로 합병되어 화룡현에 소속되었다. 1931년 3개 사는 다시 합병되어 삼합사(三郃社)가 되었다. 1937년 삼합촌으로 개칭되었으며 1940년 연길현에 속하였다. 1945년 삼합구(三郃區)를 설립하였고, 1958년 삼합인민공사(三郃人民公社)를 설립하였다. 1983년 삼합향으로 개칭하였고 1984년 삼합향을 삼합진으로 개칭하였다.

자연 환경

삼합진은 산간 지대에 속하며 부분적으로 평지가 있지만 산비탈이 많다. 기후는 온난하고 무상일수는 140~150일이다.

현황

삼합진에는 북한으로 통하는 국가 1급 항구가 있으며 삼합진으로부터 망강각(望江閣), 청천수구(清泉水庫), 한왕산(漢王山)을 연결하는 변강 민속 유람선이 있다. 용정시 정부는 20만 위안을 투자하여 삼합진에 소형 공원을 건설하였다.

2011년 현재 삼합진에는 조선족 가구가 10여 호 정도 밖에 남지 않았으며 조선족 학교는 오래 전에 폐교되었다. 상점과 식당 등도 폐점하고 있으며 현재는 북한으로 가는 관광객들이 있을 뿐이다.

삼합진에는 신석기 시대의 삼합 유적, 고구려와 요금 시대의 성자구 산성이 있다. 발해 시대의 삼합 무덤, 삼합 유적, 잔디 무덤[草坪墓群]이 있으며 명조의 조동산성, 조동 무덤 등이 있다.

참고문헌
  • 『龙井县文物志』(吉林省文物志编委会, 1984)
  • 『龙井县地名志』(龙井县人民政府, 1985.06)
  • 『龙井县志』(东北朝鲜民族教育出版社, 1989-08)
  • 『奋进的龙井-龙井统计年鉴2009』(龙井市统计局, 2010)
  • 金农网(http://ww.agri.com.cn).
  • 中华行政区划网(http://www.chinaquhua.cn)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