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두구진

한자 老頭溝鎭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노두구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행정 지명
면적 581.52㎢
가구수 12,222호
인구 31,644명
개설 시기/일시 1964년
변천 시기/일시 1956년
변천 시기/일시 1958년
노두구진은 길림성 동남부에 위치.
정의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용정시(龍井市)에 속한 진.

개설

길림성의 동남부 산간 지대,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중부에 위치하고 있다. 지리적 좌표는 동경 128°56'~129°18', 북위 42°53'~43°4' 사이이며 노두구진용정시에서 비교적 면적이 큰 진에 속한다. 면적은 581.52㎢이며 302번 국도가 전체 경내를 지난다. 노두구진은 장춘(長春), 길림(吉林)으로부터 혼춘(琿春), 장령, 권하, 도문(圖們), 개산둔(開山屯) 등 국경 출입구를 왕래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중요한 길목이다. 노두구진에는 길림성 상품 알곡 생산 기지와 농업 종합 개발 실험 기지가 있다. 경작지 면적은 8,895㏊에 달하며 이 가운데 논은 1,576㏊, 밭은 7,319㏊, 과수원의 면적은 640㏊이다. 2009년 농업 총 생산액은 1억 3296만 위안에 달한다.

명칭 유래

진의 서북쪽에 있는 바위가 할아버지 형상을 하고 있다고 하여 노두구(老頭溝)라는 명칭이 유래되었다.

형성 및 변천

1914년 전후 연길현 상의향(尚義鄉) 노두구둔이었고, 1918년 노두구에서 석탄을 채굴하였다. 1933년 장도선(長圖線)이 개통된 후 점차 하나의 작은 마을 형태가 형성되었다. 1936년 유서촌(裕庶村)에서 관리하다가 1956년 유서촌에서 노두구가도를 나누어 단독으로 노두구진을 설립하였다. 1958년 노두구인민공사를 설립하였다. 1959년 세린하(細鱗河) 인민공사가 노두구진 인민공사에서 분리, 독립하였다. 1964년 노두구진 인민공사를 노두구진으로 개칭하였다. 1998년 천보산진을 폐지하고 이에 속하는 관할구역을 노두구진의 관할구역에 소속시켰다. 2001년 용정시 세린하향과 동불사진(洞佛寺鎭)을 폐지하고 이를 노두구진에 소속시켰다.

자연 환경

길림성 동쪽의 산간 지대, 구소하 평원(鳩巢河平原)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노두구진의 변두리는 산지이며 중심은 분지이다. 사계절이 뚜렷한 중온대 대륙성 기후에 속하고 무상일수는 143일 이다. 노두구진 경내를 관통하는 부르하통하천보산하, 세린하, 기양하 세 지류가 합류한다.

현황

노두구진에는 1개의 가도가 있고 22개의 촌민위원회, 155개 촌민 소조, 139개의 자연둔이 있다. 2009년 말 총 가구수는 1만 2222호이며 총 인구는 3만 1644명이다. 이 가운데 조선족 인구는 1만 6351명이며 총 인구의 51.7%를 점유하고 있다. 한족 인구는 1만 4643명으로 총 인구의 46.3%이다. 비농업 인구는 1만 1449명이다.

노두구진 내에 발해, 금 시대의 태양 성지가 있고 고구려와 요금 시대의 성자구 산성, 백석라자 산성(白石砬子山城), 편검산성(偏臉山城)이 있다. 한나라와 발해, 요금 시대의 사수 유적[泗水遺址]도 있다.

중국의 사과와 배, 담배, 황소 등의 생산지이다. 2002년에 조선족 학교인 노두구 2중과 한족 학교인 노두구 1중을 통합하여 노두구 중학교를 설립하였다.

참고문헌
  • 『龙井县文物志』(吉林省文物志编委会, 1984)
  • 『龙井县地名志』(龙井县人民政府, 1985)
  • 『龙井县志』(龙井县地方志编纂委员会, 1989)
  • 『奋进的龙井-龙井统计年鉴2009』(龙井市统计局, 2010)
  • 용정시 노두구 중학교(http://baike.baidu.com/view/6401167.htm)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