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원가도

한자 公園街道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공원가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행정 지명
면적 4.4㎢
가구수 20,493호
인구 67,232명
개설 시기/일시 1956년
가도 북위 42°54'18.97", 동경129°29'29.07"
정의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연길시(延吉市)에 속한 가도.

개설

공원가도연길시의 서북부에 위치하여 있으며 지리 좌표는 북위 42°54'18.97", 동경 129°29'29.07"이다. 동쪽은 연길하(延吉河) 서안, 남쪽은 부르하통하 북안이며, 서쪽은 연서 거리, 북쪽은 의란진(依蘭鎭) 발전촌(發展村)에 이른다. 1986년부터 1990년 사이, 거주민의 위생을 위해 수채통을 부설하고 공중 화장실을 건설하였다. 1991년에서 1995년 사이에는 연길시 건설 전반 계획에 따라 낡은 건물이나 초가집 등을 허물고 아파트를 짓기 시작하였다. 특히 공원가에 위치해 있는 연변대학의 발전과 더불어 각종 호텔, 시장, 백화점, 식장 등이 들어서면서 공원가도는 급속히 발전하였다.

명칭 유래

공원가도는 1936년에는 영상로(迎祥路)라고 불렸다. 1953년 이후부터 인민 공원이 위치한 곳이라 해서 공원로로 개칭하고 현재에 이르고 있다. 공원로는 연길 인민 공원으로 유명하다.

형성 및 변천

공원가도는 1936년에는 영상로라고 하였다. 일제 강점기 이 구역은 공원구(公園區)로 불렸으며 1948년에 공원가를 설립하고 1953년에 공원로로 개칭되었으며 공원가 공소(公園街公所)를 설립하고 1956년에 공원가도로 고쳤다. 1985년에 공원가도 서부에 연서가도(延西街道)를 설립하였다. 1997년 당시 공원가도의 면적은 1.3㎢, 인구는 1만 9000천명이었고 16개 주민위원회를 관할하였다. 2001년 연서가도를 철폐하고 공원가도에 합병시켰다. 2006년, 소영진(小營鎭) 민주촌(民主村)의 제1·7·8촌민소조와 길흥촌(吉興村)의 제1·2·3·4·5촌민소조가 관할하는 행정구역을 공원가도의 관할구역으로 귀속시켰다.

자연 환경

공원가도 북부는 와룡산이고 지세가 약간 높으며, 남부는 구소하 평원(鳩巢河平原)이고 지세가 평탄하다. 남쪽에는 부르하통하가 있고 동쪽에는 연길하가 있다.

현황

공원가도는 1986년부터 1990년까지 ‘더럽고 어지럽고 낙후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1991년부터 1995년까지는 본격적인 공용 서비스를 진행하였으며, 1996년부터 2000년까지는 쓰레기 처리 시설 설비와 도시 녹화 사업을 통해 환경 미화를 실시하였다.

현재 공원가도는 원건·원예·원법·원교·원항·원방·원성·원월·원신·원휘 등 10개 사회구역을 관할한다. 공원가도의 총 면적은 4.4㎢이고 2009년 당시 가도 가구수가 2만 493가구, 인구가 6만 7,232명이었다. 가도 판사처는 공원로 96호에 위치해 있다. 공원가도의 주요 단위로는 연길 공원, 연변대학, 연길 맥주 회사, 연변주 당 위원회 그리고 주 정부, 연변 박물관, 연길시 3중, 연길시 12중, 연길시 공원 소학교, 이화 소학교 등이 있다.

공원가도에는 청동기 시대의 소둔대 유적지, 화공로남 유적지, 민흥 유적지, 민주 유적지, 백석골 유적지 및 발해와 요금 시대의 소둔대 유적지 등이 있다.

참고문헌
  • 『延吉市文物志』(吉林省文物志编辑委员会编, 1986)
  • 『延吉市志』(吉林省延吉市地方志编委会编,中华书局, 2003)
  • 『延边统计年鉴2010』(延边州统计局,中国国际图书出版社, 2010)
  • 行政区划网(http://www.xzqh.org)
  • 바이두(百度百科)(http://www.baidu.com)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