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가도[연길시]

한자 河南街道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하남가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가도
면적 8㎢
가구수 34,408호
인구 92,853명
개설 시기/일시 1956년
변천 시기/일시 1960년
변천 시기/일시 1976년
정의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연길시(延吉市)에 속한 가도.

명칭 유래

하남가도는 1936년 연롱로로 불리면서 비롯되었다. 1953년도에 부르하통하의 남쪽에 있다고 하여 하남가도라 개칭되었다. 청조 및 중화민국 시기에 이 지역을 남영이라 불러서 하남가도라 명명하였다는 설도 있다.

형성 및 변천

하남가도는 청조 및 중화 민국시기에 남영이라 불렀고 만주국 시기에 하남구라 칭하였다. 1948년 하남가도를 설립하고 1953년 하남가도 동업회(公所)를 설립하였다. 1955년에는 제5 판사처를 고쳤고 1956년 하남가도라 개칭하였다. 1960년 하남공사로 개칭하였으며 1976년에 다시 하남가도로 고쳤다.

자연 환경

하남가도는 1986년부터 1990년까지 가도의 환경과 위생, 상하수도 문제를 중점적으로 관리하였다. 2000년부터는 나무 1,086그루를 심고 화단을 180개 만들었으며 녹지 3만㎡를 조성하였다.

현황

하남가도연길시의 서남부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은 연서교를 변계로 공원가도와 인접해 있고 서쪽은 소영향(小營鄕) 민주촌(民主村)과 접해 있으며 북쪽은 흥안향(興安鄕) 대성촌(大成村)과 인접해 있다.

1986년에는 3차 산업이 25개로 연 수입이 60만위안이었다. 2011년 현재는 200개로 연 수입이 150만위안으로 늘어나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2000년에 일풍화 공장과 만사발 유한 공사가 설립되었다.

하남가도 관할 구역의 면적은 8㎢이고 총 인구는 9만 2853명, 가구수는 3만 4408호이다. 가도에는 조선족·한족·만족·몽골족 등 8개 민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조선족은 55%, 한족은 44%, 기타 민족은 1%를 차지한다.

가도 판사처는 1997년에 33개 주민회가 있었다. 2006년 소영진의 인평촌(仁坪村)을 제 15·16 촌민 소조에서 하남가도의 관할 구역에 소속시켰다. 이후 사구의 합병과 개조로 벽수(碧水)·백옥(白玉)·백화(白樺)·진광(晨光)·춘광(春光)·백송(白松)·백매(白梅)·백국(白菊)·백신(白新)·백천(白川)·백풍(白豊) 등 11개의 사구 주민 위원회와 637개의 행정 소조를 설립하였다.

하남가도 관할 구역 내부에는 연길 비행장·연길 기차역·연길 여객 운송 정거장·연길 해관 등의 물류 중심이 연길시의 주요한 교통 중심지를 형성하고 있다. 2011년 현재 하남가도연길 대교가 개통되고 낙백 가구점·한국 거리·연변 호텔 등 새로운 건물과 거리가 생겨나면서 새로운 변화와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하남가도에는 청나라 시대의 덕성관, 발해 시대의 장안둔 유적·용하 유적·용하 남산 유적 등이 있다.

참고문헌
  • 『延吉市地名志』(延吉市人民政府, 1986)
  • 『延吉市志』(吉林省延吉市地方志编委会编,中华书局, 2003)
  • 行政区划网(http://www.xzqh.org)
  • 河南街道办事处(http://hnjd.yanji.gov.cn)
  • 『延吉市文物志』(吉林省文物志编辑委员会编, 1986)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