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도만진

한자 三道灣鎮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삼도만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행정 지명
면적 555.7㎢
가구수 3,090가구(2000년)
인구 9,716명(2000년)
개설 시기/일시 1992
북위:43°09′ 동경:129°10′
정의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연길시(延吉市)에 속한 진.

개설

삼도만진연길시에서 서북쪽으로 51㎞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진의 총 면적은 555.7㎢이다. 총 경작지는 644㏊이며 이 가운데 논은 84㏊이고 밭은 560㏊이다. 목초지는 약 2,000㏊리며 나머지는 임지이다.

명칭 유래

삼도만에 진 소재지가 있어서 삼도만진이라고 불린다.

형성 및 변천

광서 연간에 남강 초간국 상의사(南崗招墾局尚義社)에 속했다. 1913년, 연길현 상의향(尙義鄕)에 속했다가 1936년, 태평촌(太平村)에 소속되었다. 1958년 공사(公社)로, 1983년 삼도만향으로 변경되었다. 1991년, 용정시(龍井市) 삼도향을 연길시에 편입시키고 삼도만향을 삼도만진으로 고쳤다. 1997년 당시 총 면적은 597.9㎢이고 인구는 1만 1000명, 13개 행정촌이 있었다.

자연환경

삼도만진의 지세는 대체로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으며, 대부분은 낮은 산지이다. 해발 고도는 380m이다. 삼도만진은 온냉 습윤 기후에 속하므로 여름에는 습하고 겨울에는 건조하다.

현황

삼도만진은 중심(中心), 오도(五道), 남장지(南張芝), 북장지(北張芝), 둔전(屯田), 지변(支邊), 동구(東溝), 평강(平崗), 리수(梨樹) 등 11개 촌과 연길시 삼도 탄광(延吉市三道煤礦), 안도삼림경영국(安圖森林經營局) 삼도임장(三道林場), 이수 임장(梨樹林場), 동구 임장(東溝林場), 둔전 임장(屯田林場) 등 다섯 개 임장을 관할한다. 임산 자원을 운송하는 수단은 주로 자동차이다.

삼도만진은 자연 자원이 풍부하고 원시림이 많을 뿐만 아니라 석탄, 동, 알루미늄 등 광산 자원도 풍부하다. 농업을 위주로 하며, 주로 벼, 옥수수, 콩을 재배하여 자급자족이 이루어지고 있다. 송이버섯, 인삼, 당삼 등 특산물 재배도 이루어지고 있다.

삼도만진에는 한 개의 하구가 있고 9개의 행정촌, 37개의 촌민 소조가 있다. 2009년 말 총 가구수는 3,554가구이고 총 인구수는 9,065명이었다. 향촌의 가구는 1,496호 4,534명의 인구가 있으며 이 가운데 조선족의 인구는 45명으로 향촌 총 인구의 1.0%를 차지한다. 한족 인구는 4,402명으로 향촌의 총 인구의 97.1%를 차지한다. 현재는 삼도만진의 많은 노동력이 도시로 이동한 상태이다. 교통이 편리하여 마을마다 버스 및 기타 차량이 다닌다.

삼도만진에는 발해와 금대의 태양성지, 고구려와 요금 시대의 성자구 산성, 백석라자 산성(白石砬子山城), 편검산성(偏臉山城)등이 있고 한·발해·요금 시대의 사수 유적[泗水遺址] 등이 있다.

참고문헌
  • 『延吉市地名志』 (延吉市人民政府, 1986)
  • 『延吉市文物志』(吉林省延吉市地方志编委会编, 中华书局, 2003)
  • 『延吉市志』(吉林省延吉市地方志编委会编, 中华书局, 2003)
  • 『延吉市统计年鉴2010』(延吉市统计局, 延边人民出版社, 2010)
  • 『延边统计年鉴2010』(延边州统计局, 中国国际图书出版社, 2010)
  • 行政区划网(www.xzqh.org)
  • 百度百科(baike.baidu.com)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