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布林哈通河 |
|---|---|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연길시 도문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강 |
|---|---|
| 면적 | 7,141㎢ |
| 길이 | 242㎞ |
| 폭 | 35m |
합이파령(哈爾巴嶺)에서 발원하여 서쪽에서 동쪽으로 안도현, 용정시(龍井市), 연길시(延吉市) 중부를 지나 연길시 시내에서 연길하를 만나고 동쪽 지역에서 해란강(海蘭江)을 만난 뒤 도문시 곡수(曲水)에서 두만강의 으뜸 지류인 알아하(嘎呀河)와 합류한 후 두만강으로 유입된다.
총 길이는 242㎞, 유역 면적은 7,141㎢이며 유역 내에 있는 안도현(安圖縣), 용정시, 연길시, 도문시 4개 현과 시 50여 만 인구의 수자원이 된다. 부르하통하는 연길시를 동서로 가로질러 흐르고 있으며 연길시 정부의 투자로 자연 생태 관광 시설을 갖추고 있는 연길시의 주요 관광지이다.
부르하통하는 만주어로서 ‘버드나무 개울’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연길시를 흐르는 부르하통하의 구간은 2007년 성급 수리 풍경구(水利風景區)로 지정된 후 2008년 수려한 자연과 인문 경관으로 국가급 수리 풍경구로 지정되어 연변조선족자치주 내에서는 유일한 국가급 수리 풍경구가 되었다. 부르하통하 수리 풍경구는 1996년에 계획하고 1997년부터 착공하여 2008년에 완공되었다. 총 투자액은 3억 1000만 위안이고 면적은 7.32㎢에 달한다.
풍경구 내에는 18.2㎞에 달하는 홍수 방지 경관이 포함되는데 총 4개의 제방, 20개의 생태 댐, 길이가 2,560m에 달하는 친수 공간과 공원, 녹화대, 수면 등으로 구성되었다. 녹색 생태, 도시 미화, 레저 휴가, 관광 등의 기능을 가진 종합적인 수리 풍경구이다. 앞으로 연길시 하도 종합 관리처에서는 ‘연길-용정-도문 통합계획(延吉-龍井-圖們統合計劃)’에 따라 부르하통하 서쪽과 연길하 북쪽으로 풍경구를 더욱 확장하여 연길시 도시 발전에 투자를 늘릴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