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보산

한자 天寶山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천보산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면적 4만㎡
높이 천 74m
전구간 동경128°56′19.59″,북위 42°57′7.88″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화룡시, 안도현의 접경지에 있는 산.

개설

천보산용정시 서북쪽 동경 128°56′19.59″, 북위 42°57′7.88″에 위치해 있으며, 용정시 중심과 44㎞ 떨어져 있다. 최고 해발고가 1,074m이다. 산 정상에는 연변 TV 중계국이 있으며 현과 시 세 곳의 경계가 표시되어 있다.

명칭 유래

1889년(광서 15년) 길림성 변강 지대 장군으로 있었던 장순(長順) 등이 천보산에서 채굴한 은 2만 4천 냥을 서태후에게 바쳐 천보산이란 이름을 하사받은 것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자연 환경

용정시, 화룡시, 안도현 접경지에 위치하며 화강암지대에 속한다. 천보산에는 다양한 유색 금속이 많이 있다. 구역 내에 드러난 지층 가운데 주요 지층은 석탄계(石炭系) 상통산수령조(上統山秀嶺組), 이첩계하통(二疊系下統) 묘령조와 가도조(柯島組), 쥐라계 하통 명월구조(明月溝組), 중통(中統) 모아산조, 상통 산평조(山坪組), 장재조(長財組), 제4계(第四系)가 있다.

현황

1997년 광산에서 총 169톤의 동을 채굴하였으며 2000년에는 210.7톤을 채굴하였다. 침체되어 왔던 천보산 광산은 최근 활기를 띠어 지난 1.4분기에는 3천만 원의 생산액을 창출하였으며 용정시의 중심 기업으로 부상하였다.

천보산 광산은 중국 청나라 때부터 개발하기 시작하였으며 연, 아연 등의 자원이 매우 풍부하다. 120여 년의 채굴 역사를 가지고 있었으나 1990년 초반부터 체제와 관리의 폐단으로 10년 넘게 생산을 중지하였으며 2003년에는 파산을 선고했다. 2004년 용정시의 투자 유치 기업인 함풍 광업 유한 회사는 천보산 광산을 인수하고 폐광을 복구하기 시작했는데 지금까지 이미 1억 5천만원을 투입, 대부금에 의거하지 않을 만큼 튼실한 자금 실력과 기술 수준으로 폐광 개발 사업을 추진해왔다. 용정함풍 광업 유한 회사의 손영리 부경리는 천보산 광산의 동풍갱에서는 몰리브덴을 채굴하고 있고 입산갱에서는 연, 아연, 동 등 광석을 채굴하고 있는데 현재 입산갱은 지하 700m까지, 동풍갱은 300m까지 복구했다고 밝혔다.

함풍 광업 ‘천보산광 자원 회수 및 폐석 이용 프로젝트’는 지속적 건설 프로젝트로 총 투자금액이 3억 2000만 위안이며 지금까지 투자금은 3억 위안에 달한다. 1기 공사는 이미 생산 라인이 가동 중이고 2기 폐석 창고 위험 제거 공사는 건설 중에 있다. 총 투자금이 2억 위안인 회원 과일즙 프로젝트는 이미 1억 8000만 위안이 투자되어 공장 건물과 사무 청사 주체 공사가 준공되었으며 현재 설비 가설 및 조절 시험 단계에 있는데 7월 말에 시험 생산에 도입할 전망이다.

1997년 천보산 광산은 총 47만 2000톤을 채굴했고 41만 5000톤 광량을 처리했으며 구리 169톤, 연 1,485톤, 아연 5,203톤, 몰리브덴 110톤을 채굴했다. 이와 같은 성과는 고정 자산 총액 4600만 위안을 달성했고 4,393만 위안의 공업 총 생산액에 이르렀다. 직원은 3,702명이었다. 2000년 전체 광산은 구리 210.7톤, 연 1,749.4톤, 아연 4,032.2톤, 조연(粗鉛) 897.97톤을 채굴해 총 고정 자산액이 4,400만 위안, 직원이 1,434명이었다.

천보산 주위에는 발해와 요금 시대의 무학 건축(舞鶴建築) 유적지가 있으며 고구려 및 발해 시대의 성문산 산성(城門山山城) 등의 유적지가 있다.

참고문헌
  • 『龙井县地名志』(龙井县人民政府, 1985)
  • 『安图县文物志』(吉林省文物志编委会, 1985)
  • 『延边天宝山矿山地质特征及前景分析』(陈红莲,吉林地质, 2006)
  • 人民网(www.people.com)
  • 百度百科(www.baike.baidu.com)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