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두기
-
미국 및 캐나다 지명과 그리고 지명과 함께 쓰인 한인 단체명의 한글표기는 국립국어원 사전·국어지식 및 외래어 표기 규정(http://www.korean.go.kr)과 단체 홈페이지의 용례를 따랐다.
- British Columbia주 → 브리티쉬 콜럼비아(British Columbia) 주 (X), 브리티시컬럼비아(British Columbia)주 (○)
- Alberta주 → 알버타(Alberta) 주 (X), 앨버타(Alberta)주 (○)
- Manitoba주 → 마니토바(Manitoba) 주 (X), 매니토바(Manitoba)주 (○)
-
미국 및 캐나다 서부지역의 한인단체 관련 영문 표기는 한글표기 후 괄호 안에 영어의 Full name을 적고, 약칭을 표기하였다.
- 미주한인교회연합(Korean American Church Coalition for North Korea Freedom, 약칭 KCC)
- 아시안 아메리칸 진보정의 연대(Asian Americans Advancing Justice, 약칭 AAAJ)
- 재미 교포, 재미 동포, 재미 한인, 북미 한인 등은 문맥에 맞게 재미 한인이나 북미 한인으로 가급적 표기를 통일하였다.
- 기관단체 유형의 한인타운, 한인커뮤니티, 한인공동체 등이 공간을 의미할 경우에는 ‘한인타운’으로, 그 외의 경우에는 ‘한인공동체’로 표기를 통일하였다.
- 이민 세대의 구분은 이민자 개별주체(가계)를 기준으로 통일하였고, 180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의 재미동포 전체에 해당하는 이민 세대의 용어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곤 사용하지 않았다. 이 경우는 이민 시기의 개념으로 통일하였다.(통상 재미동포의 이민 시기는 4시기로 구분되며, 본 사전에서는 이 구분을 따른다.)
- LA, 엘에이, 로스엔젤래스, 나성 등은 고유명사화 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로스앤젤레스로 표기를 통일하였다.(SF, 샌프란시스코, 상항 등 다른 지명도 마찬가지로 영어의 Full name으로 통일하였다.)
-
인명 표기 원칙
한국식 이름과 미국식 이름이 있을 경우, 미국식 이름을 우선 표기하며, 이름+성의 순서로 표기 하였다. 여성의 경우, 본성을 우선으로 작성하였다.
-
행정지명 표기 원칙
미국, 캐나다의 행정지명 표기는 발음대로 쓰는 것이 원칙으로 하였다.
-
지명이나 교명 등 표기 원칙
대학교명이나 지역 전반 표기할 때는 발음대로 쓰는 것이 원칙으로 하였다.
-
단체명 표기 원칙
고유명사화된 명칭은 잘못된 명칭이어도 예외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 캐나다가 올바른 명칭 표기이지만 카나다 문인회라는 단체가 있으면 고유명사로 인정하였다.
- 오리건주의 경우도 오레곤, 오레건으로 표기하는 단체명을 인정하여 표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