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Ким Максим Павлович |
---|---|
영문 | Kim Maksim Pabeullobichi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러시아 모스크바주 모스크바시 |
시대 | 현대/현대 |
출생 시기/일시 | 1908년 5월 25일 |
---|---|
수학 시기/일시 | 1934년 |
수학 시기/일시 | 1946년 |
활동 시기/일시 | 1951년 |
활동 시기/일시 | 1957년 |
활동 시기/일시 | 1968년 |
활동 시기/일시 | 1979년 |
활동 시기/일시 | 1979년 |
몰년 시기/일시 | 1996년 6월 11일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85년 |
출생지 | 러시아 연해주 수이푼 지역 니콜스크우수리스크군 푸칠로브카 마을 |
거주|이주지 | 러시아 |
학교|수학지 | 러시아 모스크바시 |
활동지 | 러시아 모스크바시 |
원어 항목명 | Ким Максим Павлович |
성격 | 러시아 모스크바시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역사연구소 분과장 |
러시아에서 활동한 고려인 역사학자.
김 막심 파블로비치[1908~1996]는 1908년 5월 25일 러시아 연해주 수이푼 지역 니콜스크우수리스크군 푸칠로브카 마을에서 태어났다. 1934년 러시아 모스크바역사철학대학을 졸업한 후 모스크바 소재 대학에 출강하였다. 1943년 학술지 『소비에트 연방사』의 책임 편집자를 맡아 경제적·문화적 상호관계에 관한 저서를 출간했으며, 사회주의 시기 『소비에트 연방사』가 최초로 인문학부생용 교재로 쓰이면서 다양한 언어로 번역·출간되었다. 김 막심 파블로비치는 동학 농민 운동을 주제로 박사 논문을 썼으며, 1946년 「10월 혁명기 카자흐스탄의 농업 문제와 계급 투쟁」으로 독토르 학위를 받고 1947년 정교수가 되었다.
김 막심 파블로비치는 1951년부터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역사연구소 산하 사회주의 건설사 분과장을 맡았으며, 1957~1960년 『소비에트 연방사』의 편집장을 지냈고, 1968년 이후 소비에트 사회사 분과장과 소비에트 문화사 분과장, 소련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건설사 및 소비에트 문화사에 관한 학술협의회 의장을 각각 역임했다. 국가와 노동자, 농민, 인텔리겐치아의 산업 발전사, 소련 사회의 사회적 구조, 민족 국가 건설사, 새로운 역사 공동체로서 소비에트 인민의 형성 과정 등 폭넓은 연구 영역에서 연구 활동을 전개하였다.
김 막심 파블로비치는 1960년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역사분과[소련사] 준회원을 거쳐 1979년 정회원으로 추대되었으며, 1979년부터 러시아 역사연구소 이사회에서 소련사와 문화사 분야 고문을 역임하였다. 김 막심 파블로비치는 1996년 6월 11일 모스크바시에서 사망했다.
김 막심 파블로비치는 1985년 소련 정부로부터 민족 우호 훈장, 명예 훈장, 붉은 노동 훈장, 국가 훈장 최고상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