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1978년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4년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8년 |
채록지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
성격 | 교훈담 |
주요 등장 인물 | 시아버지|시어머니|젊은 며느리 |
모티프 유형 | 자발적 동기|행동의 중요성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에서 고려인 사이에 전해 오는 한 며느리에 관한 설화.
어느 집의 젊은 며느리가 일은 많고, 먹고살기가 너무 어려워 견디다 못해 친정으로 가 버렸다. 그러던 어느 날 한 소녀가 이 집 며느리로 들어오고 싶다는 이야기가 전해졌다. 가족이 말렸지만, 소녀는 듣지 않았다. 소녀는 가마를 한번 타보고 싶었던 것이었다. 소녀는 담배쌈지와 담뱃대를 싸 들고 가마를 탔다. 신랑 집에 가는 동안에도 그리고 혼례 상 앞에서도 담배를 피웠다. 사람들이 술렁이고 흉을 보자 소리쳤다. “불 좀 가져다주세요. 담뱃불이 꺼지려고 해요!” 가족과 손님들은 말문이 막혀 쳐다보았다. 혼례를 마치자 신부는 잠을 자러 가 버렸고 이틀 동안 나오지 않았다. 그렇게 하루가 더 흘렀고 시댁 일을 배우기 시작했다. 시어머니가 며느리에게 죽 끓일 쌀 한 말을 줬다. 하지만 며느리는 양이 너무 적다고 생각해서 시어머니 허리춤에서 열쇠를 빼서 혼자 창고로 가서 자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만큼 쌀을 꺼내왔다. 동네 사람들은 새 며느리 때문에 이 집이 망해간다고 말하기 시작했다.
며칠이 흐르자 며느리는 시어머니가 시켜도 아무 일도 하지 않았다. 시어머니가 남편에게 하소연했다. “내 속이 타고 있어요. 더는 참을 힘도 없어요.” 며느리는 우연히 이 대화를 듣고는 전혀 개의치 않고 말했다. “어쩌다 속이 다 타셨나요, 어머니? 속에 짚을 넣고 불을 지르셨나요?” 시아버지는 배꼽을 잡고 웃다가 눈물을 훔치며 말했다. “도대체가 어떻게 된 아이인지. 하고 싶은 대로 하게 합시다. 며느리에겐 아무 말도 하지 맙시다.” 하지만 그날 이후 며느리는 정말 몰라보게 달라졌다. 며느리는 열의를 갖고 모든 일을 하기 시작했다. 좋아하는 일은 이렇게 열심히 일하게 하였다. 모든 것은 강제가 아닌 자발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자발적으로 일하게 되었을 때, 일을 더 잘하고 열심히 하게 된다는 교훈을 이야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