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카자흐스탄 알마티주 알마티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2006년 7월 18일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8년 |
관련 지명 | 원동 |
채록지 | 카자흐스탄 알마티시 |
성격 | 생활담 |
주요 등장 인물 | 구술자의 아버지 |
모티프 유형 | 생활 속 실수 |
카자흐스탄 알마티시에서 고려인 사이에 전해 오는 고려인의 이주 당시의 모습을 담은 실화.
2006년 7월 18일 이복규가 알마티시에서 김 로자 할머니[1938년 생]가 구술한 것을 채록하였다. 「유리창 들이받은 아버지」는 김 로자 할머니의 아버지가 겪은 실화이다. 2008년 이복규의 저작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구전 설화』[집문당]에 수록되었다.
우리 아빠, 글을 모른다니까, 사람이 말을 잘해도, 머리 일해도, 글을 모르면 사람이 높은 일을 못 하고 깨지 못하지. 우리 아빠, 원동 와서 큰 공장에 들어갔는데, 모든 문이 다 유리지. 벽이 아니고 유리로 만들었지. 우리 아빠 그것도 모르고, 곧게 가다가 유리 맞아놨지[부딛혔지]. 우리 아빠, 공장 들어가서, 자기 번 돈은 유리 맞은[깬] 거 물었어. (웃음)
김 로자 할머니의 아버지는 평양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살았다. 김 로자 할머니의 아버지가 러시아 극동 지방으로 이주하여 부딪히는 생활 속의 어려움을 통해 이주 당시 낯선 문화에 적응하는 고려인들의 애환을 느낄 수 있는 이야기이다. 배우지 못한 무학자인 김 로자 할머니의 아버지는 러시아에서 유리로 만든 문을 처음 본 것이다. 그래서 그곳이 빈 곳인 줄 알고 곧장 가다 유리와 부딪혀 깬 것이다. 고려인들의 이주 당시의 모습을 담은 실화로 생활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