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1978년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4년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8년 6월 20일 |
채록지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
성격 | 설화 |
주요 등장 인물 | 원님|농민|부인|정부|박도령 |
모티프 유형 | 지혜담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에서 고려인 사이에 전해 오는 지혜로운 부인을 둔 원님에 관한 설화.
「우둔한 상관, 현명한 상관」 설화는 1978년에 소설가 김 아나톨리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에 있는 황만금 농장에서 고려인 노인들에게서 채록하였다. 2004년 알마티시 지벡 졸리(Жибек жолы) 출판사에서 러시아어로 간행된 『Невидимый остров. Проза и поэзия корейских писателей[보이지 않는 섬: 한인 작가들의 산문과 시집]』에 수록되었다. 2008년 이복규 저,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구전 설화』[집문당]에 수록되었다.
아주 우둔한 반 씨가 원님으로 임명되어 지방을 관리하고 재판을 도맡아 했다. 한 농부가 자기 하인에게 새끼 밴 소를 주었다. 그 소는 하인이 갖고 있다가 3년 뒤에 다시 농부에게 돌려주었다. 하지만 새끼를 낳은 후 소는 병들어 죽었다. 농부는 하인에게 손해배상을 하려 했는데, 하인은 너무 가난했다. 화가 난 농부는 원님을 찾아가 그 하인을 고소했지만, 원님은 이렇게 대답했다.
“네 말대로 네 하인은 가난해서 아무것도 받아낼 것이 없다. 그런데 내게서 무슨 말을 듣기를 원하느냐? 물러가거라.”
농부는 고개를 숙인 채 집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영리한 원님 부인은 해결하지 않고 돌려보낸 남편을 나무랐다.
“그럼 내가 뭐라고 했어야 하오?”
“소는 죽었지만, 소의 가죽을 신 만드는 모피장이에게 팔아 그 돈을 농부에게 주게 하면 되잖아요. 송아지도 농부에게 다시 돌려주고요.”
원님은 농부를 다시 불러 아내가 시키는 대로 했다. 농부는 원님의 지혜에 놀라워하며 그 지역의 새 원님에 대한 이야기를 퍼뜨렸다.
그러던 어느 날 일곱 명의 난폭한 형제들이 이웃과 싸우다 한 사람을 죽이고 말았다. 죽은 사람의 아들이 원님을 찾아와 자기 처지를 이야기했다. 원님은 아무 생각 없이 눈만 멀뚱멀뚱 뜬 채 앉아 있었다. 마침 부인이 곁에 없었다. 원님은 지난번 부인의 조언이 떠올랐다.
“죽은 자의 가죽을 벗겨 신발을 만드는 모피장이에게 팔아 그 돈을 저 아비 잃은 아들에게 주거라. 그리고 저자의 아비를 죽인 일곱 강도의 자식들을 저자에게 주거라.”
하지만 원님이 혼자 힘으로 현명한 판결을 내릴 때도 있었다. 한 남자가 시장에서 꽤 괜찮은 값에 송아지를 팔고 큰 소를 채운 마차를 타고 집으로 돌아가던 중 바퀴가 망가지고 말았다. 이미 밤이었다. 그 남자는 마차에서 소를 풀어내고 마차를 길에 버려둔 채로 집으로 향하려다 도적 떼를 만날까 두려워 돈이 들어 있는 담배쌈지를 버려둔 마차에서 멀지 않은 길가에 서 있는 나무 밑의 땅에 묻어두었다. 집에 돌아와 잠든 뒤 세 시간 후 그곳에 가서 흙을 파냈는데 돈주머니는 없었다. 남자는 원님을 찾아가 자초지종을 이야기했다. 그 이야기를 들은 원님이 말했다.
“돈은 네 아내의 정부가 가져갔다.”
“제 아내는 정부가 없습니다.”
“그럼 네 아내를 이리로 데리고 오너라.”
“네 이년, 바른대로 고하여라! 네 정부가 누구냐?”
“나리, 제겐 그런 사람이 없습니다.”
“그럼 그 밤에 대체 누구를 시켜 말을 타고 산으로 가게 하였느냐?”
“전 모르는 일입니다.”
“모른다고? 어서 너와 이 일을 꾸며낸 자를 불러오너라.”
“아무도 없습니다.”
“여봐라! 이년의 목을 쳐라! 사지를 마차에 묶어 처형해라!”
“용서해 주십시오! 모두 말하겠습니다. 그자는 박 도령입니다.”
박 도령이 체포되었는데, 처음에는 거짓말을 했다.
“너는 저 여자와 상관하였느냐?”
“아니옵니다, 나리. 저 여자는 모르는 사람입니다.”
“훔친 돈을 가져왔느냐?”
“무슨 돈 말씀입니까?”
“네 이놈! 이자의 사지를 마차에 묶어 처형하라!”
박 도령도 모든 것을 자백할 수밖에 없었다.
「우둔한 상관, 현명한 상관」 설화는 무척 아둔하지만, 가끔 제대로 된 판단도 내리는 원님에 대한 이야기다.
「우둔한 상관, 현명한 상관」는 한 고을의 원님이 있었는데 무척 아둔했지만, 지혜로운 부인이 덕분에 명판결을 내릴 수 있었는데 가끔은 혼자 힘으로 명판결을 내리기도 했다는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