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카자흐스탄 알마티주 알마티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2005년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8년 |
채록지 | 카자흐스탄 알마티시 |
성격 | 외설담 |
주요 등장 인물 | 시아버지|딸|며느리 |
모티프 유형 | 장수 기원 |
카자흐스탄 알마티시에서 고려인 사이에 전해 오는 시아버지의 장수를 바라는 며느리의 외설담이 담긴 설화.
2005년 8월 2일 이복규가 카자흐스탄 알마티 감리교회에서 양 노라 할머니[1921년 생 원동 출생]가 구술한 것을 채록하였다. 2008년 이복규의 저작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구전 설화』[집문당]에 수록되었다.
한 아버지가, 시아버지가, 며느리 있고, 딸 있고, 그렇게 있었는데, 며느리 어떤 말 하는가 좀 들어 봤으면 좋겠거든? 그래, 딸 불러 물었어요.
“기둥 애야!”
“그래, 왜 그래요, 아버지.”
“너는 내 죽으면 무엇이 됐으면 좋겠냐?”
그러니 “아버지는 큰 부자가 되어서 높은 자리에 올라앉았으면 좋겠어요.”
그래, 며느리한테 물었어요.
“며늘아, 너는 내 죽으면 무엇을 하면 좋겠느냐?”
그래, 며느리, 생각다 못해, “아버지는 죽어서, 좆이가 됩시다.” (일동 웃음)
그래, 한 아버지 있다가, 시아버지가 “에? 어떻게 그리하는가?”
그러니까, “아이고, 그래야만, 죽었다 살았다, 아버지 영 죽지 말라고.”
고려인 사이에 전승되는 외설담이다. 시아버지의 장수를 바라는 며느리의 기원이 외설적이지만 해학적으로 그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