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카자흐스탄 알마티주 알마티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2005년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8년 |
채록지 | 카자흐스탄 알마티시 |
성격 | 외설담 |
모티프 유형 | 한자 파자(破字) 풀이 |
카자흐스탄 알마티시에서 고려인 사이에 전해 오는 ‘파자’에 관한 설화.
2005년 8월 8일 이복규가 카자흐스탄 알마티시에 있는 자택에서 한철주 할머니[1921년 원동 출생]가 구술한 것을 채록하였다. 2008년 이복규의 저작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구전 설화』[집문당]에 수록되었다.
‘납 신(申) 자’ 쓰는 신 자가 있고, ‘매울 신(辛) 자’는 ‘설 립(立)’ 아래 ‘열 십(十).’ 그다음에 ‘납 신’ 자는 ‘입 구(口)’ 안에 ‘열 십(十)’, 그래 이거 쌍소리야. (웃음) [조사자: 이게 왜 쌍소리가 돼요?] ‘서서 하는 씹’ (웃음) [조사자: 아하!] 그다음에 ‘납 신’ 자는. [조사자: 입으로 하는 씹?] 응. (웃음) [조사자: 그거 어디서 들었어요? 처음 들었네!] 처음 들었어? (웃음) [조사자: 그것도 남편한테 들었어요?] (웃음) [조사자: 그거 말 되네! 남편한테 들었어요?] 남편한테 들은 것 같지 않아. 모르겠어.
고려인들 사이의 육담, 즉 외설담인데 한자 파자를 이용해 만든 재미있는 외설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