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카자흐스탄 알마티주 알마티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2005년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8년 |
채록지 | 카자흐스탄 알마티시 |
성격 | 외설담 |
주요 등장 인물 | 남자|여자 |
모티프 유형 | 사기꾼 이야기|외설담 |
카자흐스탄 알마티시에서 고려인 사이에 전해 오는 김선달과 관련된 외설적 설화.
2005년 8월 8일 이복규가 카자흐스탄 알마티시에 있는 자택에서 한철주 할머니[1921년 원동 출생]가 구술한 것을 채록하였다. 2008년 이복규의 저작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구전 설화』[집문당]에 수록되었다.
남자 하나이, 부랑자 하나, 떡 자리에 누워서, 집 안이 아니라 밖이었던 모양이야. 그래 누워서 지금 남자 신물을 가지고, 이짝저짝 그러는데, 여자가 거기 있어서. [조사자: 신물?] 남자의 제 신물. [조사자: 아! 제 신물을 갖고 장난하는 거야?] 그러면서 그 여자 있는데.
“아, 이게 새라고.” [조사자: 새?] 응, 날아다니는 새. 그래, “새 이름이 무시긴가?” 하이, “추이까”라고. [조사자: 추이까?] 모르지 뭐. 그렇게 지어내서 말했지 (웃음) “추이까라는 새인데, 이게 날아간다고. 치마로 덮으라고.” (웃음) 그래, 이 여자, 거기 치마로 덮었으니 어떻게 됐겠소? (웃음) 까불치됐지. [조사자: 까불치가 뭐야?] 잘못됐단 말이지.
고려인들 사이에 전승하는 외설담이다. 고려인들 구전 설화에는 외설담들도 많은데 한민족의 해학을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