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카자흐스탄 알마티주 알마티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2006년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8년 |
채록지 | 카자흐스탄 알마티시 |
성격 | 생활담|생활 속 일화 |
주요 등장 인물 | 양반집 부인|이장 기술자 |
모티프 유형 | 생활 속의 오해 |
카자흐스탄 알마타시에서 고려인들 사이에서 전해 오는 사소한 오해에 관한 설화.
2006년 3월 29일 이복규가 카자흐스탄 알마티시에서 리 스타스[1959년 생]가 구술한 것을 채록하였다. 2008년 이복규 저,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구전 설화』[집문당]에 수록되었다.
옛날 옛적에, 한 양반 식구가 있었대요. 그런데 부자고 뭐한데 돌아갔대요. 돌아갔는데 고독하고 몇 년 지나가니까 다른 곳으로 이주를 했지. 그러니까 옛날에 파묻은 무덤을 다 열어 놓고, 뼈를 다 하고, 깨끗한 [조사자: 백지에다가] 예, 이사한 곳으로 갔는데, 또 그런 사람들이 있었대요. [조사자: 그렇지, 기술자가 있어요.] 그런데 사람에게 뼈가 700개 있는데, [조사자: 아, 마디마디가? 그렇게 많나?] 그 사람하고, 그 나이 먹은 여자가, “아니, 700이 아니라 701개였는데?” [일동 웃음] “뼈가 하나 모자란다고.” [조사자: 누구 말이야?] 아, 양반 그 [조사자: 마누라가?] 응, 뼈가 “살아 있을 때는 701개였는데, 그 하나는 어디 있지?” [일동 웃음]
백화된 유골을 유골함에 담아 이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소한 오해를 유쾌한 어조로 이야기한다. 뼈가 하나 모자란다고 주장하는 것은 남성의 성기가 썩어서 없어진 것을 유머스럽게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