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카자흐스탄 알마티주 알마티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2006년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8년 |
채록지 | 카자흐스탄 알마티시 |
성격 | 교훈담 |
주요 등장 인물 | 부자집의 주인과 마누라|가난한 집의 남편과 마누라 |
모티프 유형 | 진정한 행복 |
카자흐스탄 알마티시에 사는 고려인들 사이에서 전해 오는 진정한 행복에 관한 설화
2006년 3월 29일 이복규가 카자흐스탄 알마티에서 리 스타스[1959년생]가 구술한 것을 채록하였다. 2008년 이복규 저,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구전 설화』[집문당]에 수록되었다.
어떤 시골에 부자 있었어요. 주인과 마누라, 그분은 돈은 있었지만, 자식이 없었지. 그런데 옆집 사람은 아이가 10명. 그런데 밥도 없고 옷도 없고. [조사자: 가난해.] 예. 남편하고 아내하고, “아이, 이상하다고. 가난하게 사는데 왜 좋아하는가 하고.” 창문에서 딱 보니까, 온 식구가 앉아 있고, 막내딸이 춤추고 노래하고 있어. 손뼉 치고 있어. “이것, 우린 돈은 있는데, 우리는 돈 많이 있으니, 가서 놀자.” 집으로 왔지. 집에 왔지만, 행복이 없지. 돈 쌓아 놓고 놀아 봐야. “아하, 이 세상에서 돈이 중요한 게 아니고, 다른 게가.” 그런 이야기라. [조사자: 바로 그런 이야기를 내가 들으려고 하는 거예요.] [청중 최주호 씨: 그 이야기를 할머니가 해 주셨어?] 그럼. [조사자: 친할머니니?] 응, 대여섯 살 때. [청중 최주호 씨: 그러니까, 이런 이야기 같아요. 다 필요 없다. 애를 낳아라.] (웃음) 그런 이야기, 어릴 때 많이 들었어요.
진정한 행복은 쌓아 놓은 돈에 있지 않다는 이야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