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 성행위 교육」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카자흐스탄 알마티주 알마티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2005년 8월 2일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8년
채록지 카자흐스탄 알마티주 알마티시
성격 외설담
주요 등장 인물 부부|토기 장수
모티프 유형 남편 성교육|낮거리
정의

카자흐스탄 알마티주 알마티시에서 부부의 성행위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고려인들의 설화.

채록/수집 상황

2005년 8월 3일 이복규가 카자흐스탄 알마티시에서 이 소냐 할머니[당시 85세]에게서 채록했다. 2008년 이복규가 출간한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구전 설화』[집문당]에 수록되었다.

내용

어떤 여자가 시집갔는데 남편이 여자를 몰라서 결혼한 지 몇 달이 가고 1년이 지나도 관계를 갖지 못하였다. 이 여자가 너무 답답해서 남편에게 가르쳐 주는데, 밤에는 가르쳐 주지 않고 낮에만 가르쳐 주었다. 그런데 하루는 질그릇 파는 토기 장수가 토기를 메고 마을에 와 “토기 사시오, 토기 사시오” 하고 외치는데, 아무 데도 인기척이 없다. 이 집 안에서 말소리가 나니, ‘이 집에서 사겠는가?’ 하고 다가가니, “들여오오.” 하거든? (웃음) 여자가 그렇게 말하니, 토기 장수는 저를 들어오라고 하는 줄 알고, 토기를 메고 문을 열고 들어갔다. 그러니까 “내가요.” 하거든? (웃음) 그래 토기 장수가 ‘들여오라’ 그러면 들어오고, 들여오려고 하여 거의 들어오니, 또 ‘내가요.’ 또 ‘들여오오.’ ‘내가요.’ 그러니 그 사람이 장단에 맞추어 들어가고 나가고 하다가 토기를 다 망가뜨렸다고 한다.

참고문헌
  • 이복규,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구전설화』(집문당, 2008)
  • 이복규,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구전설화 연구」(『동아시아고대학』16, 동아시아고대학회, 2007)
  • 강현모, 「중앙아시아 고려인 사회와 구비문학」(『민속연구』30,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5)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