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카자흐스탄 침켄트주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2006년 6월 30일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8년 |
채록지 | 카자흐스탄 침켄트주 |
성격 | 설화 |
주요 등장 인물 | 가난하게 사는 효자 |
모티프 유형 | 착한 이를 도와주는 꿈 |
카자흐스탄 침켄트주에서 금을 얻은 효자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고려인들의 설화.
2006년 6월 30일 이복규가 카자흐스탄 침켄트주에서 김옥순 할머니에게서 채록하였다. 2008년 이복규가 출간한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구전 설화』[집문당]에 수록되었다.
한 집에서 모질이 구차하지. 구차하고 구차하게 살아서, 그래서 자꾸 그렇게 살았는데. 한 번은 꿈에 와서 그러지. “너 어느 산에 가서, 어느 나무 밑을 파라.”라고.
그래 나무 밑을 파니까, 쇳소리가 났지. 그래 쇳소리가 나서 그 밑을 들여다보니까, 금덩어리가 있지. 그 금을 가져다가 그 사람들이 잘살았다지.
꿈에서 금이 있는 곳을 일러 줘 마음 착한 효자를 도와 준다는 이야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