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카자흐스탄 잠빌주 타라즈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2006년 7월 15일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8년 |
채록지 | 카자흐스탄 잠빌주 타라즈시 |
성격 | 설화 |
주요 등장 인물 | 고려인 2세 두 사람 |
모티프 유형 | 한국어|의사소통 |
카자흐스탄 잠빌주 타라즈시에서 의사소통과 관하여 전해 오는 고려인들의 설화.
2006년 7월 15일 카자흐스탄 남부 타라즈시의 시무 침례교회에서 유 라이사 할머니[1941년 생]가 구술한 것을 채록하였다. 2008년 이복규가 출간한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구전 설화』[집문당]에 수록되었다.
우연히 만난 고려인 2세의 해프닝에 관한 이야기이다. 한국어를 잘 모르는 고려인 두 사람이 만났다. 한 사람이 “고양이 있습니까?” 그렇게 말하니까. “네! 제 고향은 크질오르다[카자흐스탄의 도시]입니다.”라고 한다. ‘고양이’를 ‘고향’으로 잘못 알아들은 것이다. 고려인 2세 중에서도 할머니나 부모한테 고려 말을 잘 배운 사람은 알아듣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은 들어도 무슨 말인지 잘 몰라서 고려인끼리도 서로 의사소통이 되지 않고 딴소리하는 상황이다.
우즈베키스탄으로 이주한 뒤 태어난 고려인 2세는 한국어에 서툴 때가 많다. 한국어로 서로 의사소통이 되지 않았던 두 고려인에 관한 그들의 생활 속 이야기이다. 유머러스하게 구술되었지만, 한편으로는 본국에서 한참 떨어져 지내면서 조국의 문화와 언어에서 멀어져 가는 고려인 2세의 모습을 보여 주는 씁쓸한 예이기도 하다.
한국어를 잘 모르는 두 고려인 2세가 대화하면서 발생한 일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