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트페테르부르크 고려인청년문화교육센터

원어 항목명 Молодежный корейский культурно-просветительский центр Санкт-Петербурга
영문 Korean Youth Cultural and Educational Center of St. Petersburg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러시아 레닌그라드주 상트페테르부르크시 카잔스카야 거리 7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95년
최초 설립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시 프로스펙트 도브롤류보바 21
현 소재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카잔스카야 거리 7
원어 항목명 Молодежный корейский культурно-просветительский центр Санкт-Петербурга
원어 주소 Казанская ул., 7, Санкт-Петербург
성격 청년 문화 센터
설립자 리 나탈리야
전화 8-931-37-212-37|8-812-314-57-56
홈페이지 https://vk.com/centernan
정의

1995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시에 설립된 고려인 청년을 위한 문화 센터.

개설

1995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시에서 리 나탈리야(Ли Наталья)가 설립하였다.

설립 목적

상트페테르부르크 고려인청년문화교육센터의 설립 목적은 현 고려인 세대의 과제인 잃어버린 민족 문화의 뿌리를 찾고, 모국어를 복원하는 것이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2000년 상트페테르부르크 고려인청년문화교육센터[Молодежный корейский культурно-просветительский центр Санкт-Петербурга]가 등록되어 2009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시청의 청년정책과 사회단체와 관계를 위한 청년 및 소년 사회조직위원회 등록 명부에 게재되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고려인청년문화교육센터에서 1995년부터 2012년까지 개설된 한국어 과정에 1,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과정을 이수했다. 한국어 강의는 연세대학교의 전문가들이 창안한 효과적인 방법론을 따라 진행되었다. 강사 대부분은 한국어를 구사하는 지원자들로 구성되었다. 현재 1,200명[성인반 8개, 어린이반 3개]이 수학 중이다.

2002년부터 수학 중인 학생들이 대한민국 교육부 국립 국제 교육원이 주관하는 토픽(TOPIK) 시험에 응시하고 있으며, 교육 증명서를 받기 위한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시험 결과 234명이 국제 증명서를 받았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고려인청년문화교육센터의 한국어 과정을 이수한 13명은 대한민국의 대학교[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경기대학교, 포항공대 등]에서 석·박사 과정에 입학하였다. 또한 상트페테르부르크 고려인청년문화교육센터의 교수들에 의해 자체 교과서와 초급 단계의 과제집을 발간하였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고려인청년문화교육센터의 졸업생 중 많은 이는 통번역가 활동을 하고 있으며 러시아와 대한민국에 있는 다양한 한국 회사에서 성공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다른 분야도 성공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 전통 악기를 이용한 연주단 ‘한누리’는 2002년부터 한국의 ‘살판’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으며, 교육 프로그램과 공동 콘서트를 준비하고 있다. 한누리 연주단은 2003년과 2004년 전세계전통예술축제에서 수상하였고, 소치에서 개최된 세계델픽대회에 참가하였으며, 한누리 축제에서 대상을 받았다. 한국 전통 무용단 ‘소운(Соун)’은 2004년부터 대한민국 과천시의 전통 무용단과 협력 중이며, 소치시에서 개최된 세계델픽대회에 참가하였고, 한누리 축제에서 수상하였다. 소운 무용단은 모스크바 한국예술축제의 최우수상 수상자이다. ‘한지’ 스튜디오는 한국 전통 종이 공예 ‘한지’의 숙련자 반을 운영하며 전시회도 개최하고 있다. 2008년 국제청년포럼에서 ‘한지’ 전시회는 ‘렌엑스포(Ленэкспо)’ 명예 회원증을 받았다.

연례 행사 중에는 서울 번역 문학원과 함께 진행하는 고려인 작가의 에세이 대회[2009년 대회 결과 『한 운명』이라는 에세이집 출간], 전시회, 한국사 강연, 전통 예술 강연, 문학 강연 그리고 한국어 문자 체계에 관한 강연이 진행되는 한국 문화 기간, 비보르크(Выборг)시와 벨리키 노브고로드(Великий Новгород)시에서 대한민국 총영사관과 공동으로 진행하는 한국문화축제, 한국 민족 명절 기간에 진행되는 콘서트와 축하 행사, 대한민국 고등 교육 기관과 함께 진행하는 교육생 국제 교환 프로그램 등이 있다.

현황

상트페테르부르크 고려인청년문화교육센터는 한국어 강의를 통해 통번역가를 배출하고, 한국 대학과 활발하게 교류하며, 전통 예술 분야 등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참고문헌
  • 『Санкт-Петербург в 150-летней истории переселения корейцев в Россию』(СПбКНКА, 2014)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