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Хван Дон ук |
---|---|
영문 | Hwang Dongwook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러시아 체첸공화국 |
시대 | 현대/현대 |
출생 시기/일시 | 1918년 |
---|---|
수학 시기/일시 | 1939년 |
수학 시기/일시 | 1941년 |
활동 시기/일시 | 1941년 |
몰년 시기/일시 | 2005년 |
출생지 | 러시아 극동주 부데놉스키 지역 타우디미촌 |
거주|이주지 | 북오세티야 블라디카프카즈시 |
거주|이주지 | 러시아 모스크바 주 셀랴티노촌 |
학교|수학지 |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시 |
활동지 | 북오세티야 |
활동지 | 러시아 스타브로폴스키주 |
활동지 | 체첸 |
묘소 | 러시아 모스크바 주 셀랴티노촌 |
원어 항목명 | Хван Дон ук |
성격 | 군인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집단 농장 대표 |
제2차 세계 대전에 소련군 소속으로 참전한 고려인.
황동욱의 아들은 황덕삼[Хван Дек Сам]이다.
황동욱[1918~2005]은 1918년 러시아 극동주 부데놉스키 지역 타우디미촌에서 태어났다. 1941년 우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국립대학교 물리수학부를 졸업한 뒤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1942년 제130사단 포병연대 소속 대전차포대 지휘관을 역임하였으며, 1943년 벨로루스 전선 브레스트(Брест)시 탈환 전투에서 부상을 당하였다. 부상 치료 후 폴란드 해방 전투와 제2 우크라이나 전선 쾨니히스베르크(Кёнигсберг)[현 칼리닌그라드(Калининград)] 탈환 전투, 1945년 베를린 점령전에 참전하였다.
황동욱은 1946~1978년 시타인가르트(Штайнгардт) 집단 농장 쌀 생산 작업반의 작업반장을 지냈으며, 스타브로폴스키주(Ставропольский край) 네빈노미스키 지역(Невинномысский район) 레닌 집단 농장 대표를 역임하였다. 이후 체첸으로 이주하여 코스트 세타구로프 집단 농장 대표와 폴탑스키(Полтавский) 협동 농장 내 한인 작업반 반장으로 근무하였다.
황동욱의 묘소는 러시아 모스크바주 셀랴티노촌에 있다.
황동욱은 소련 정부로부터 탈환 메달, 대조국 전쟁 2등급 훈장, 용감한 군인 메달, 전투 공훈' 메달 등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