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Син Чун У |
---|---|
영문 | Shin Joonwoo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러시아 사할린주 |
시대 | 현대/현대 |
출생 시기/일시 | 1927년 |
---|---|
수학 시기/일시 | 1935년 |
수학 시기/일시 | 1949년 9월 |
수학 시기/일시 | 1949년 11월 |
활동 시기/일시 | 1943년 |
활동 시기/일시 | 1945년 5월 |
활동 시기/일시 | 1946년 1월~1946년 6월 |
활동 시기/일시 | 1946년 10월~1947년 2월 |
활동 시기/일시 | 1947년 |
활동 시기/일시 | 1951년 2월 |
활동 시기/일시 | 1951년 7월 |
활동 시기/일시 | 1951년 8월 |
활동 시기/일시 | 1959년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
학교|수학지 | 소련 사할린주 유즈노사할린스크시 |
활동지 | 소련 네벨스크주 고르노자보드스크시 |
활동지 | 소련 사할린주 마카로프시 |
원어 항목명 | Син Чун У |
성격 | 사회운동가 |
대표 경력 | 소련 사할린주 인민교육부 마카로프 지부 비서 |
신준우는 1927년 전라남도에서 출생하였으며 1934년 가족과 함께 충청남도 천안으로 이주하였다. 1935년 천안에서 보통학교에 입학하였고, 1940년 5학년을 수료한 뒤 신문판매원으로 일하다가 1년 뒤 서울로 왔다. 1942년 다시 천안으로 돌아가서 큰아버지가 운영하는 과자 공장에서 일하다가 1943년 일본으로 강제 동원되어 일본 오마티시 알루미늄 공장으로 보내졌다. 1944년 일본 도쿄로 탈출하여 막노동에 종사하다 1945년 5월 일본이 점령하던 유즈노사할린의 카미시스카로 왔다. 1945년 6월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소련 영역 사할린으로 보내졌다. 1946년 1월부터 6월까지 소비에트군 러시아어 통역관, 1946년 10월부터 1947년 2월까지 레오니도보 마을 초등학교 교사, 1947~1948년 소련 네벨스크주 고르노자보드스크시 한인학교 교무 주임, 이후에는 소련 돌린스크주 브즈모리예 마을 한인학교 교무 주임으로 근무하였다. 1949년 유즈노사할린스크 사범대학 역사학부에 입학하였다가, 1949년 11월 경제 사정으로 중퇴하였다. 다시 소련 네벨스크주 고르노자보드스크시로 돌아와서 농기구 제작소 기계공으로 근무하다가 1951년 1월 소련 사할린주 마카로프시로 이전하여 2월부터 5월까지 인민교육부 마카로프 지부에서 비서로 근무하였다. 1951년 7월 ‘반소비에트 민족 단체’를 조직하여 ‘조선공산당’이라고 명명하였다. 신준우에 의하면 당의 목적은 일본 정부, 대한민국 정부, 사할린 지역에 주둔하고 있는 미국군사대표부의 도움으로 사할린 한인의 귀환을 돕는 것이며 이를 위해 UN의 관심을 촉구할 계획이었다. 1951년 8월 유즈노사할린스크 기차역에서 국가 정보 요원에게 체포되어 10년형을 선고 받았고 노동감호소에 수감되었다. 1955년 1월 13일 스탈린 사후 석방이 결정되었으나 3년 4개월 더 보호 감찰을 받았다.
1959년 북한으로 갔으며 대사관에서 통역관으로 근무하였고 대학에 입학하였다. 사망시기는 확인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