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 | Kim Byeongsu |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출생 시기/일시 | 1912년 |
---|---|
수학 시기/일시 | 1940년 |
활동 시기/일시 | 1956년 |
몰년 시기/일시 | 1982년 |
출생지 | 러시아 연해주 쉬코토프스키군 포두쉬카 마을 |
거주|이주지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
학교|수학지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
활동지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
성격 | 교육자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니자미사범대학교 한국어문학과 학과장 |
우즈베키스탄에서 활동한 고려인 교육자.
1912년 러시아 연해주 지역 쉬코토프스키군의 포두쉬카 마을에서 빈농의 아들로 출생한 김병수[1912~1982]는 블라디보스톡 신한촌 초등학교를 다녔다. 1935년 블라고베쉔스크의 극동사범대학교 문학부에 입학하여 교원의 길을 가려고 했지만 1937년 강제 이주로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 정착하게 되었다. 김병수는 타슈켄트의 니자미사범대학교에 입학하여 1940년 졸업한 후 중등학교에서 러시아어와 문학을 가르쳤다. 1951년에는 사할린주 교원 파견에 자원하여 사할린에서 생활하기도 했다.
이후 모스크바에서 잠시 거주한 후 김병수는 1956년 막 출범한 니자미사범대학교 한국어문학과 학과장으로 취임하였다. 교재나 교원이 부족했던 상황에서 김병수의 노력으로 1회 입학생 25명을 모집하여 15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김병수의 공로로 소련에서 최초의 대학교 한국어 관련 학과가 만들어지게 되었고, 허웅배 등 우수한 교원을 유치하여 학과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1982년에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