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Ким Петр Геронович |
---|---|
영문 | Kim Pyotr Geronovich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출생 시기/일시 | 1933년 4월 4일 |
---|---|
수학 시기/일시 | 1952년 |
수학 시기/일시 | 1957년 |
활동 시기/일시 | 1991년 |
활동 시기/일시 | 2000년 |
몰년 시기/일시 | 2001년 4월 1일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98년 |
출생지 | 러시아 연해주 |
거주|이주지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
거주|이주지 | 러시아 모스크바시 |
학교|수학지 | 러시아 모스크바시 |
활동지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
묘소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
원어 항목명 | Ким Петр Геронович |
성격 | 학자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소비에트 정치사회리서치연구소 부소장|정당사연구소 학술비서|우즈베키스탄 고려인문화협회 회장 |
소비에트 역사학계의 대표적인 고려인 학자.
김 표트르 그리고리예비치[1933~2001]는 소비에트 역사학계에서 저명한 고려인 역사학자로 인정을 받은 인물이다. 우즈베키스탄으로 복귀한 후에는 우즈베키스탄 고려인문화협회 회장을 역임하면서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교류에 공헌하였다.
김 표트르 그리고리예비치는 1933년 4월 4일 러시아 연해주에서 태어났다. 우즈베키스탄으로 강제 이주를 당한 후 모스크바로 유학해 1952년부터 1957년까지 모스크바 역사-기록보관연구소에서 수학하였다. 역사학 국가 박사를 취득한 후 20년 동안 소비에트 정치사회리서치연구소의 부소장 겸 정당사연구소 학술 비서를 역임하였다.
김 표트르 그리고리예비치는 특히 문서 보관과 기록물 보관 분야에서 특출한 재능을 발휘하여 소비에트 학계에서 인정을 받았다. 모스크바에서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로 귀환한 후에는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우즈베키스탄 고려인문화협회 회장으로 있으면서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관계 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다. 2012년 우즈베키스탄의 초대 대통령인 이슬람 카리모프가 한국을 공식 방문했을 때 김 표트르 그리고리예비치도 우즈베키스탄 대표단의 일원으로 방한하였다. 김 표트르 그리고리예비치는 2001년 4월 1일 사망하였다.
김 표트르 그리고리예비치의 대표 저서로는 『우즈베키스탄의 고려인』[1993]이 있다.
김 표트르 그리고리예비치의 묘소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에 있다.
김 표트르 그리고리예비치는 1998년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교류 발전에 공헌한 공로를 인정받아 우즈베키스탄 정부로부터 우정[Do’stlik] 훈장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