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올가 미하일로브나

원어 항목명 Ким Ольга Михаиловна
영문 Kim Olga Mikhailovna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타슈켄트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32년
수학 시기/일시 1950년
수학 시기/일시 1950년~1955년
수학 시기/일시 1964년
수학 시기/일시 1978년
활동 시기/일시 1937년
활동 시기/일시 1955년
활동 시기/일시 1964년~1990년
몰년 시기/일시 1990년
출생지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시
거주|이주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시
학교|수학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시
활동지 우즈베키스탄 부하르주 부하르시
활동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시
묘소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시
원어 항목명 Ким Ольга Михаиловна
성격 학자
성별
정의

우즈베키스탄에서 활동한 고려인 어문학자이자 교수.

개설

김 올가 미하일로브나[1932~1990]는 우즈베키스탄에서 활동한 어문학자이자 교수로 소비에트 연방 고려인 여성 중 최초로 어문학 대박사 학위를 받았다.

활동 사항

김 올가 미하일로브나는 1932년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시에서 태어났다. 1937년 가족과 함께 우즈베키스탄으로 강제 이주되었다. 1950~1955년 국립타슈켄트대학 어문학부를 다녔다. 1955~1964년 우즈베키스탄 부하르주 부하르시에 있는 부하르교육대학 교수로 근무하였다. 1964년 「소비에트 연방 고려인의 러시아어 발화에 나타난 음성·형태적 특성」으로 국립타슈켄트대학 어문학부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64~1990년 국립타슈켄트대학 어문학부 교수로 근무하였으며, 1978년 「현대 러시아어 개인 발화에 나타난 음의 위치 전위와 동음이의어 현상」으로 국립타슈켄트대학 어문학부에서 대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김 올가 미하일로브나는 60편 이상의 논저를 발표했는데, 그중 일부는 폴란드, 불가리아, 스위스에서 출판되었다. 1990년 타슈켄트시에서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김 올가 미하일로브나의 대표적 논저로는 「소비에트 연방 고려인의 러시아어 발화에 나타난 음성·형태적 특성」[타슈켄트, 1964], 「현대 러시아어 개인 발화에 나타난 음의 위치 전위와 동음이의어 현상」[타슈켄트, 1978] 등이 있다.

묘소

김 올가 미하일로브나의 묘소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시에 있다.

참고문헌
  • Ким Брутт, 『Корейцы Узбекистана: Кто есть кто』(Ташкент-Сеул, 1999)
  • Малахова Н. Н., 『Уроки О. М. Ким”, Вопросы изучения грамматического строя русского языка』(Ташкент, 2012)
  • Шатуновский И. Б., 『Ольга Михайловна Ким”, Вопросы изучения грамматического строя русского языка』(Ташкент, 2012)
  • Шильникова Л. Ф., 『Вспоминая своих учителей”, Вопросы изучения грамматического строя русского языка』(Ташкент, 2012)
  • Долгополова Е. П., 『О. М. Ким: страницы жизни и научного творчества”, Вопросы изучения грамматического строя русского языка』(Ташкент, 2012)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