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 | Kim Vladimir Vasilievich |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러시아 |
시대 | 현대/현대 |
출생 시기/일시 | 1932년 1월 25일 |
---|---|
수학 시기/일시 | 1953년 |
수학 시기/일시 | 1958년 |
활동 시기/일시 | 1961년 |
수학 시기/일시 | 1966년 |
활동 시기/일시 | 1971년 |
활동 시기/일시 | 1993년 |
활동 시기/일시 | 1997년 |
몰년 시기/일시 | 2002년 5월 8일 |
출생지 |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시 |
학교|수학지 | 러시아 모스크바시 |
학교|수학지 | 러시아 톰스크시 |
활동지 | 러시아 톰스크시 |
활동지 | 러시아 스타브로폴시 |
활동지 | 러시아 모스크바시 |
성격 | 대학 교수|학자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모스크바언어학대학 한국어학부의 학부장 |
러시아에서 활동한 고려인 역사학자.
김 블라디미르 바실리예비치의 아내는 의사인 김 타티야나[한국 이름 김정유]이다.
김 블라디미르 바실리예비치는 1932년 1월 25일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시에서 태어나 모스크바시에서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보냈다. 한국 이름은 김성산(金聖山)이다. 1958년 국립모스크바대학교 산하 아시아·아프리카대학 극동학부와 역사학부를 졸업했으며, 전공은 동방학 및 역사학이었다. 졸업 후 1년 동안 국립모스크바대학교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남동아시아 전문가 자격을 취득했고 이후 시베리아로 이주하여 1961~1964년 국립 톰스크대학에서 조교로 근무하였다. 이 기간 김 블라디미르 바실리예비치의 주요 연구 주제는 ‘10월 혁명과 그 영향’이었다. 1966년 「시베리아 군사관구에서 군대의 볼셰비키화」란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1년 뒤인 1967년 국립 톰스크대학 조교수가 되었다.
김 블라디미르 바실리예비치는 1971년 스타브로폴로 이주했으며 1971년부터 1986년까지 국립스타브로폴대학 역사와 정치학부 조교수, 1987~1993년 사회학과 학과장을 지냈다. 1993년 다시 시베리아로 이주하여 1997년까지 국립톰스크대학 조교수를 거쳐 국립극동대학 조교수를 역임했다. 1997년 모스크바로 돌아와서 국립모스크바언어학대학 한국어학부의 학부장이 되었다. 김 블라디미르 바실리예비치의 동방학자로서의 길은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한국어의 러시아어 번역에 전념했다.
김 블라디미르 바실리예비치의 주된 학문적 관심사는 10월 혁명, 러시아 혁명 운동에서 군의 역할, 한국사와 한국어 문학, 한국어 번역 등이며 영어, 한국어, 러시아어를 자유롭게 구사하였다. 김 블라디미르 바실리예비치는 50편 이상의 학술 논문과 저서를 발표했으며, 2002년 5월 8일 모스크바에서 사망하였다.
김 블라디미르 바실리예비치의 주요 저서로는 『소비에트 극동 혁명 운동에 참가한 한인 노동자들』[케메로보, 1971], 『10월 혁명에서 군의 역할』[모스크바, 1975], 『러시아 2월 혁명』[모스크바, 1979]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