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黃雲晶 |
---|---|
영문 | Hwang Unjeong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러시아 연해주지방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99년 9월 11일 |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3월 |
활동 시기/일시 | 1920년 |
활동 시기/일시 | 1920년 |
활동 시기/일시 | 1922년 |
몰년 시기/일시 | 1989년 12월 31일 |
추모 시기/일시 | 2005년 |
출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온성군 |
활동지 | 러시아 연해주 |
묘소 | 카자흐스탄 알마티시 |
성격 | 독립운동사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솔밭관공산당 우리동무군 |
일제 강점기 러시아 연해주 지역의 한인 빨치산 부대에서 활동한 재러 한인 독립운동가.
황운정은 함경북도 온성의 빈농 가정에서 태어났다. 고등보통학교를 마치고 3·1 운동에 참가하여 전단을 배포했다. 3·1 운동 이후 만주로 이주하여 빨치산 활동에 참여했다. 1920년 한인 빨치산 부대와 함께 러시아로 이동하여 이중집의 부대에 합류했는데, 황운정이 가담한 부대가 솔밭관공산당의 군사 조직인 우리동무군이었다. 1920년부터 1921년까지 일본군과 홍후즈[중국 동북 지역의 마적단]를 상대로 한 격렬한 전투를 치렀고 500명이 넘는 홍후즈를 괴멸시켰다. 1921년에는 러시아 공산당에 입당해 연해주 한인청년혁명조직 서기로 선출됐다. 1922년 황운정의 부대는 인민혁명군과 함께 일제와 백위군으로부터 극동 지역을 탈환하기 위한 전투에 투입되었다. 황운정은 시베리아 내전 이후 경제 활동에 종사했다. 1935~1938년 부당한 탄압을 받았으나 1956년 하바롭스크 군사재판소에서 복권되었다. 1989년 12월 31일 사망하였다.
황운정의 유해는 카자흐스탄 알마티시의 루스쿨로바 공동묘지(Алматы, кладбище Рускулова)에 안장되었다가, 2019년 4월 22일 국내로 봉환되어 국립 대전 현충원에 안장되었다.
2005년 대한민국 정부는 황운정의 공적을 기려 건국 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