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Цой Хорим |
---|---|
한자 | 崔虎林 |
영문 | Choi Holim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러시아 연해주지방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93년 1월 20일 |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2월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3월 |
활동 시기/일시 | 1920년 |
활동 시기/일시 | 1921년 6월 |
활동 시기/일시 | 1922년 9월 |
활동 시기/일시 | 1934년 |
몰년 시기/일시 | 1960년 5월 29일 |
추모 시기/일시 | 2010년 |
출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무산군 |
활동지 | 러시아 연해주 |
원어 항목명 | Цой Хорим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선봉』 주필 |
1920년대 연해주 지역의 한인 빨치산 부대 지휘관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최호림은 1893년 1월 20일 함경북도 무산에서 태어났다.[국가보훈처 공훈 전자 사료관 공적 조서에는 1896년 출생으로 되어 있으나 최호림 묘비의 내용을 따른다.] 1919년 2월 러시아 공산당에 입당하였으며, 3월에 라즈돌노예 근교 얼두거우[二道溝]에서 35명의 대원을 규합해 한인 빨치산 부대를 편성했다. 3·1 운동 이후 조선인들이 간도와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주해 오면서 8월에는 부대원이 120명으로 늘어났지만 일본군과 백위군이 빨치산 부대를 습격한다는 소식을 듣고 중국령으로 퇴각했다. 1920년 1월 얼두거우로 다시 돌아와 빨치산 대원을 모집하여 부대원이 150명으로 늘어났다. 최호림 부대는 라즈돌노예 수비대 참모장 코즐로프와 군정위원 두브로빈의 동의를 얻어 라즈돌노예로 이동하여 라즈돌노예 수비대에 한인대대로 편입되었다. 1920년 3월 중순 대대원의 수는 280명에 달했다.
최호림은 1920년 아무르주 자유시에시 한인보병자유대대에 합류하여 정치위원이 되었고, 1921년 6월 고려혁명군정의회 산하에 고려혁명군이 편성되자 제1연대 군정위원이 되었다. 1922년 9월 연해주 한인 빨치산 부대들이 조직한 혁명군사회 위원, 12월 니콜리스크에서 단지동맹(斷指同盟) 단장을 역임하였다. 1923년 7월에는 고려공산당 극동선전부장 정학룡 등과 만나 간도·훈춘 지방에서의 기관 연락 배치와 계획 등의 개선·확충책에 대해 협의하였다. 1925년 7월 노동당원 이정수(李挺洙)의 국내 잠입에 도움을 주었으며, 1926년 고려공산당 고려부 연해주 당 위원과 남오(南烏) 지부장으로 활동하였다. 1934년 소련작가협회 회원이 되었다. 최호림은 『선봉』 주필을 지내다가 스탈린의 대숙청 당시 체포되어 수용소에 수감되었고, 1957년 석방되었다. 국가보훈처 공훈 전자 사료관 공적 조서에는 1960년 5월 25일 사망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최호림 묘비에는 1960년 5월 29일 사망한 것으로 새겨져 있다.
최호림의 묘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아쿠르간에 있다.
2010년 대한민국 정부는 최호림의 공적을 기려 건국 포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