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崔聲學 |
---|---|
영문 | Choi Sunghak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러시아 연해주지방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900년 11월 25일 |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9월 |
활동 시기/일시 | 1920년 |
수학 시기/일시 | 1924년 2월 |
활동 시기/일시 | 1935년 |
활동 시기/일시 | 1937년 |
몰년 시기/일시 | 1938년 10월 26일 |
추모 시기/일시 | 2006년 |
출생지 | 러시아 연해주 포시예트 지구 얀치헤 마을 |
활동지 | 러시아 연해주 |
성격 | 독립운동가|군인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소련 해군 장교 |
일제 강점기 러시아 연해주 지역의 한인 빨치산 부대에서 활동한 재러 한인 독립운동가.
최성학(崔聲學)[1900~1938]은 러시아 혁명과 내전 시기에 빨치산 및 기자로 독립운동에 참가하였다. 1924년 프룬제군사학교를 졸업한 뒤 소련 해군 함대 지휘관으로 활약하였으며, 간첩 혐의로 총살되었다. 러시아 이름은 러시아명은 파벨(Цой Павел Петрович)이다.
최성학은 1900년 11월 러시아 연해주 포시예트 지구 얀치헤 마을에서 태어났다. 1907년 가족과 함께 노보키예프스크로 이주하여 초등 교육을 마쳤다. 그 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상업학교, 니콜스크-우수리스크에서 실과학교를 다녔으나 재학 중 시위에 가담한 이유로 제적되었다. 1919년 9월 야누치노에서 활약하던 홍범도 부대의 참모장으로 활동하였고, 1920년에는 니콜스코-우수리스크 지역 콤소몰 조직에 참여하였다. 1918~1920년 『크라스키노 즈나먀』 신문 기자로 활동하던 최성학은 빨치산 부대 지휘부에서 발간하는 신문 『나찰로(Hачало)』의 간사로도 활동하였다.
최성학은 1924년 2월 페테르부르크에 있는 프룬제군사학교 졸업 후 아무르 소함대 소속 스베르들로프호의 초병 지휘관에 임명되었다. 그 후 카스피해 소함대, 발트 함대 등에서 포병 지휘관이나 포병장으로 근무하였다.
1927년 소련공산당의 당원 후보였다가 1932년 정식 당원이 되었다. 1935년 아버지 최재형이 부르주아였다는 사실을 은폐했다는 이유로 당원 자격이 박탈되었고, 12월에 포병 지휘관에서도 면직되면서 조사를 받았다. 1936년 1차, 1937년 8월 2차 체포되어 심문을 받으며 일본 간첩임을 자인하라고 강요받았지만 최성학은 끝내 거부하다가 1938년 10월 26일 크질오르다에서 처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