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집

한자 李仲執
영문 Lee Jungjip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러시아 연해주지방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0년 5월 28일
활동 시기/일시 1912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활동 시기/일시 1920년
활동 시기/일시 1920년
활동 시기/일시 1920년
몰년 시기/일시 1936년 1월 15일
추모 시기/일시 1996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덕원
활동지 러시아 연해주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고려혁명군 연해주 지역 총사령관
정의

1920년대 러시아 연해주에서 한인 빨치산 부대 지휘관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이중집(李仲執)[1880~1936]은 한인 빨치산 부대 지휘관이자 고려혁명군 연해주 지역 총사령관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하였다.

활동 사항

이중집은 1880년 5월 28일 함경남도 덕원에서 태어났다. 1912년 북간도 연길현 국자가(局子街)로 망명하였다. 1912년 2월 간민교육회(墾民敎育會)가 간민회(墾民會)로 변경되자 평의원에 선임되었다. 이중집은 1919년까지 간도 소영자학교(小營子學校)·광성학교(光成學校) 교사, 기독교 전도사, 그리고 중국의 권학소(勸學所) 교사로 활동하면서 동포들의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1919년 1월경 러시아 지역 독립운동가들의 요청에 따라 ‘한족 독립 선언서’ 제작과 공식 발표의 사전 논의를 위한 간도 지역 대표자에 김약연, 정재면(鄭載冕), 정기영과 함께 선정되었다. 1919년 3월 말경 니콜리스크에 도착한 이중집은 파리 강화 회의 대표 문제와 기타 한국의 독립운동에 관하여 논의한 후 니콜리스크에 남았다.

1920년 4월 경신참변으로 인하여 연해주에서 한인 민족 운동이 크게 위축되자 6월 5일 연해주 수이푼 당어재골 신길동(新吉洞)에서 최문서(崔文瑞)·최찬식(崔燦植)·황원호(黃元浩)·이근선(李根善) 등 14명이 모여 한인 무장 부대를 조직하기로 결의하였다. 그 결과 1920년 8월 6일 13개 지방 대표 26명이 참여한 가운데 솔밭관 한족공산당이 조직되었다. 이중집은 위원장에 선출되어 부위원장 김경권(金京權), 선전부장 유해사(柳海史), 노동부장 장화삼(蔣化三), 경무부장 장학년(張學年)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1921년에 행정부장, 1922년에는 다시 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이중집은 한족공산당 군정의회(軍政議會)에서 당 임원에 선출되었으며, 1922년 9월경에는 고려혁명군(高麗革命軍) 연해주 총사령관으로 활동하였다.

1922년 말 일본군이 철수한 후 러시아 당국이 러시아에 있는 한인 무장 부대의 무장 해제를 요청하자 이중집은 부하들을 이끌고 라즈돌역 부근 우두고우촌에 ‘사회생활’이라는 집단 농장을 창설하여 거주하다가 스탈린에 의하여 숙청되어 총살당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6년 대한민국 정부는 이중집의 공적을 기려 건국 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임경석, 『한국 사회주의의 기원』(역사비평사, 2003)
  • 박 보리스 드미트리예비치·최 발렌틴 발렌티노비치, 『사진으로 본 러시아 한인의 항일 독립운동』(국사편찬위원회·재러독립유공자후손협회·주러시아연방 한국대사관, 2004)
  • 윤상원, 「러시아 지역 한인의 항일 무장 투쟁 연구(1918~1922)」(고려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2010)
  • 계봉우, 「아령실기」(『독립신문』, 1920. 2. 20~1920. 4. 12)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