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러시아 연해주지방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901년 |
---|---|
수학 시기/일시 | 1916년 |
활동 시기/일시 | 1923년 |
수학 시기/일시 | 1936년 |
활동 시기/일시 | 1941년 |
활동 시기/일시 | 1944년 |
출생지 | 러시아 아무르주 예카체리노 니콜크스 구역 블라고베셴스크시 |
학교|수학지 | 러시아 연해주 이르쿠츠크시 |
활동지 | 러시아 연해주 |
성격 | 군인|의료인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북한 보건성 부상|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
일제 강점기 러시아 연해주 지역과 북한에서 활동한 의사.
이동화[1901~?]는 1937년 이르쿠츠크의학대학교를 졸업하고 극동 전선에서 군의관으로 활동하였으며, 한국전쟁에 참가한 뒤 북한에서 공직 생활을 하였다. 러시아 이름은 이 바실리 표도로비치이다.
이동화는 1901년 아무르주 예카체리노 니콜스크 구역 블라고베셴스크시에서 태어났다. 1916년 초중등학교를 졸업한 뒤 러시아 치타의학기술전문대학을 졸업했다. 1923~1924년 노농적군에서 복무했고 1936년 이르쿠츠크의학대학교를 졸업했다. 1939년 할힌 골 전투에 파견되었으며 1941년 10월 다시 군대에 징집되어 극동 전선에서 군의관으로 활동했다. 한국전쟁에 제1 원동 전선 25군 소속으로 참전하였고, 1950~1961년까지 북한 군사의료지도소 소장, 보건성 부상,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역임했다. 이동화는 말년에는 카자흐스탄 알마티시에서 살았다.
이동화는 소련 정부로부터 붉은 별 훈장, 전쟁 공훈 메달을 받았다. 북한에서는 국기 1등급 훈장 2회, 2등급 훈장과 자유와 독립 2등급 훈장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