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 | Yoo Hakkwan |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러시아 연해주지방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92년 12월 26일 |
---|---|
활동 시기/일시 | 1907년 |
활동 시기/일시 | 1911년 |
활동 시기/일시 | 1917년 |
활동 시기/일시 | 1920년 8월 |
활동 시기/일시 | 1921년 9월 16일 |
활동 시기/일시 | 1922년 |
추모 시기/일시 | 2012년 |
출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영흥군 신흥리 |
활동지 | 러시아 연해주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일제 강점기 러시아 연해주 지역의 한인 빨치산 부대 지휘관으로 활동한 재러 한인 독립운동가.
유학관은 1892년 12월 26일 함경남도 영흥군 신흥리에서 태어났다. 1907년 겨울 구 한국군 부위(副尉) 출신인 윤동섭 의진(義陣)에 참여하여 1910년까지 함경남도 고원, 영흥, 황해도 곡산 일대에서 일본 수비대와 헌병대를 공격하여 일본군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렸다. 1911년 윤동섭 의진을 따라 중국 무송현(撫松縣)으로 이주하여 활동하다가 1913년 무장 해제되었다.
유학관은 1917년 러시아 연해주 수이푼(秋豊) 부근으로 이주하였다. 1920년 8월 류진규 등이 솔밭관 한족공산당을 조직하자 가입해 남만주 장백현에서 군인과 군자금 모집 활동을 하였다. 1921년 9월 16일 대한독립군비단 제1중대 제3소대 제1분대 상등병으로, 군비단 본부를 출발하여 23일 함남 갑산군 동인면 함정포(含井浦)의 일본 경관 주재소를 공격하여 폭파하고 순사부장을 사살한 뒤 무기와 탄약을 확보하여 30일 본영으로 귀환하였다. 1922년 반제와 항일의 국제적 연대 차원에서 연해주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고려혁명군에서 복무하였다.
2012년 대한민국 정부는 유학관의 공적을 기려 건국 포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