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柳震九 |
---|---|
영문 | Yoo Jingu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러시아 연해주지방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66년 |
---|---|
활동 시기/일시 | 1914년 4월 |
활동 시기/일시 | 1914년 8월 |
활동 시기/일시 | 1916년 12월 |
활동 시기/일시 | 1920년 6월 |
활동 시기/일시 | 1922년 1월 2일 |
몰년 시기/일시 | 1922년 |
추모 시기/일시 | 2006년 |
출생지 | 대한민국 강원도 철원 |
활동지 | 중국 만주 |
활동지 | 러시아 연해주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솔밭관 한족공산당 연해주연합총회 선전부장 |
일제 강점기 러시아 연해주 지역의 한인 빨치산 부대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유진구는 1914년 4월 만주에서 간민회(墾民會)의 부속 단체인 동제회(同濟會) 총무로 활동하였다. 1914년 8월 연길현(延吉縣)에서 국치 기념일 행사를 주도하였으며, 1916년 12월부터 1918년까지 만주 연길현 용지사(勇智社) 육도구(六道溝)에 건립된 교향학교(敎鄕學校)에서 교사로 활동했다. 유진구는 이후 러시아 연해주로 건너가 시베창에서 교사로 활동하다 한인사회당 적위군에 가담하여 하바롭스크에서 백위군과의 전투에 참가했다. 전투에 패한 뒤 유진구는 솔밭관으로 옮겨 우리동무군에서 공산주의 조직 및 교육 사업과 빨치산 모집을 주도하였다. 1920년 6월 솔밭관 한족공산당 연해주연합총회 결성에 참가하여 상무집행위원 겸 선전부장이 되어 기관지 『군성(群聲)』 발간을 주도했다. 유진구는 1922년 1월 2일 극동민족대회로 가는 도중에 추풍 당어재골 부령촌(富寧村)에서 육성촌(六城村) 일본군 헌병대에 체포되어 고문 끝에 순국하였다.
2006년 대한민국 정부는 유진구의 공적을 기려 건국 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