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安武 |
---|---|
영문 | An Moo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러시아 아무르주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83년 6월 29일 |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
활동 시기/일시 | 1920년 12년 |
활동 시기/일시 | 1921년 3월 |
활동 시기/일시 | 1921년 6월 |
몰년 시기/일시 | 1924년 9월 7일 |
추모 시기/일시 | 1980년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국민회군 부대장 |
일제 강점기 러시아 아무르주에서 항일 무장 투쟁을 이끌었던 독립운동가.
안무는 1919년 봄부터 간도대한국민회 산하의 국민회군을 이끌었다. 안무의 국민회군은 홍범도의 부대와 연합하여 정일제일군사령부라는 연합 부대를 조직하였고, 1920년 10월 13일 다시 홍범도의 부대와 김규면의 신민단과 함께 연합 부대를 편성하였다. 1920년 12월 안무는 국민회 부대를 이끌고 북만주 밀산(密山)과 러시아 연해주 이만을 거쳐 러시아 아무르주 자유시로 이동하였다. 안무와 안무의 부대는 1921년 3월 중순 러시아 아무르주 마자노프로 이동하여 전한의병대회에 참가하였다. 곧 코민테른 극동비서부가 설립되고 극동 지역 조선 문제에 관한 사무가 코민테른 극동비서부로 이관되었다. 코민테른 극동비서부는 기존의 무장 단체 통합 작업을 중지하고 새롭게 고려혁명군정의회를 설립하였고, 고려혁명군정의회를 중심으로 한인 무장 단체를 통합하려 하였다. 1921년 6월 한인 빨치산 부대들에게 고려혁명군정의회에 참가하라는 고려혁명군정의회 위원장 카란다빌리쉬의 명령이 내려왔다. 통합의 주도권이 코민테른 극동비서부와 고려혁명군정의회로 넘어가게 되자 안무는 통합을 위해 고려혁명군정의회에 가담하였다. 1921년 6월 9일 안무는 부대를 이끌고 러시아 아무르주 마자노프에서 고려혁명군정의회가 있었던 러시아 연해주 자유시로 이동하였다. 고려혁명군정의회는 무장 단체를 통합해 고려혁명군으로 조직하고자 하였는데 안무의 국민회 군대는 고려혁명군 제3 연대에 배속되었다.
1980년 대한민국 정부는 안무의 공적을 기려 건국 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