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申禹汝 |
---|---|
영문 | Shin Wooyeo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러시아 연해주지방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82년 7월 28일 |
---|---|
활동 시기/일시 | 1920년 |
활동 시기/일시 | 1921년 7월 |
활동 시기/일시 | 1921년 7월 |
활동 시기/일시 | 1922년 |
몰년 시기/일시 | 1923년 3월 26일 |
추모 시기/일시 | 1999년 |
활동지 | 러시아 연해주 수이푼 지역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신민단 부대장|솔밭관 한족공산당 부대 사령부장 |
일제 강점기 러시아 연해주 한인 빨치산 부대에서 활동한 재러 한인 독립운동가.
신우여는 조선에서 태어났고 1910년 한일병합 이후 만주로 건너가 중등학교를 다녔다. 1920년부터 항일 무장 투쟁에 나섰다. 1920년 6월 신우여는 신민단의 부대장으로 러시아 연해주 쟈피거우 부근 시베창에서 전투를 벌였다. 1921년 러시아 연해주 수이푼 지역 한인 빨치산들의 통합 움직임에 따라, 1921년 7월 러시아 연해주 수이푼의 솔밭관 한족공산당의 부대에 합류하였다. 여러 한인 빨치산 부대들이 모인 솔밭관 한족공산당 부대는 1922년 김경천 군사부장을 중심으로 총사령관 최추송, 참모부장 최성삼이 임명되었으며 신우여는 사령부장에 임명되었다. 솔밭관 한족공산당 부대는 우리동무군으로 명명되었으며 121명을 한개 중대로 하여 총 3개 중대 363명의 인원으로 구성되었다. 신우여가 가담한 우리동무군은 일본군과 전투를 지속하는 한편 선전 선동을 위해 『군성(群聲)』이라는 신문과 『한살림』이라는 잡지를 발간하였다. 우리동무군은 1921년의 흉년과 홍후즈들의 공격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1922년까지 일본군과의 전투를 이어 갔다. 1922년 10월 15일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를 점령하면서 연해주 해방 전쟁이 종료되자 한인 빨치산 부대들에 대한 무장 해제와 해산이 시작되었다. 한인 빨치산 부대에 대한 해산이 시작되자 신우여는 솔밭관 한족공산당[우리동무군]을 떠났다.
1999년 대한민국 정부는 신우여의 공적을 기려 건국 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