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 | Park Changkeug |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러시아 연해주지방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91년 |
---|---|
수학 시기/일시 | 1932년 |
수학 시기/일시 | 1936년 |
활동 시기/일시 | 1915년 |
활동 시기/일시 | 1917년 |
활동 시기/일시 | 1920년 |
활동 시기/일시 | 1920년 |
활동 시기/일시 | 1921년 |
활동 시기/일시 | 1922년 |
활동 시기/일시 | 1922년 |
활동 시기/일시 | 1936년 |
몰년 시기/일시 | 1936년 |
출생지 | 러시아 연해주 하연추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고려혁명군정의회 정치부비서 |
일제 강점기 러시아 연해주에서 한인 빨치산 부대를 이끌었던 독립운동가이자 사회주의 운동가.
박창극은 1891년 러시아 연해주 하연추 마을의 농민 집안에서 태어났다. 1915년 제정 러시아군에 징집되어 러시아 연해주 이르쿠츠크에서 복무하였다. 러시아 2월 혁명 후 1917년 드빈스크[지금의 라트라비아 최동단 위치] 부근의 전투에 파견되었다. 당시 박창극은 주변에 많은 혁명가들과 친분을 맺고 사단 소비에트 의장으로 선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투 중 부상을 당하여 러시아 페트로그라드 병원으로 후송되어 치료를 받았다. 1919년 수찬 지역에서 한인 빨치산부대가 조직될 때 참여하였다. 1920년부터는 극동공화국 인민혁명군의 교관으로 일하면서 치타군의 책임서기로 근무하였다. 1921년 코민테른 극동비서부와 고려혁명군정의회에 명령에 따라 러시아 연해주 빨치산 부대로 파견되었다. 1922년부터 솔밭관 한족공산당의 우리동무군의 일원으로서 솔밭관[松田關], 올가만, 니콜라예프카 등의 전투에 참여하였다.
시베리아 내전이 종료된 이후 1932년 러시아공산당의 선택으로 모스크바 스탈린 명칭 공급아카데미로 보내져 1936년 졸업하였다. 졸업 후 박창극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어업트러스트에서 일하였다. 1936년 탄압을 받아 사망하였고, 1956년에 복권되었다.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시에 있는 국립 아르세니예프 박물관에 박창극 관련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