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Пак Никифор Александрович|Пак Минен |
---|---|
한자 | 朴敏永 |
영문 | Park Minyoung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러시아 연해주지방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902년 |
---|---|
수학 시기/일시 | 1921년 |
활동 시기/일시 | 1926년 6월 |
활동 시기/일시 | 1929년 |
몰년 시기/일시 | 1938년 5월 9일 |
추모 시기/일시 | 2006년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57년 |
출생지 | 러시아 연해주 이바노프 지역 카자케비체보 |
학교|수학지 | 러시아 연해주 |
학교|수학지 | 러시아 모스크바시 |
원어 항목명 | Пак Никифор Александрович|Пак Минен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1920년대 러시아 연해주 지역의 한인 빨치산 부대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박민영(朴敏永)[1902~1938]은 항일 운동을 조직한 지하 운동가 중 한 사람이다.
박민영은 1902년 극동 지방 이바노프 지역의 카자케비체보에서 태어났다. 러시아 이름은 박 니키포르 알렉산드로비치이다. 니콜스크-우수리스크의 중등학교에서 공부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이 시작되었을 때 수찬 지역 한인 빨치산 부대에 입대하였고 1919년에는 아르군 빨치산 부대 소속으로 일본군과 백위군에 대항하는 전투에 참여했다. 모스크바 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 입학해 1925년 졸업한 뒤 코민테른에 의해 박민영이라는 이름으로 조선에 파견되어 항일 운동을 위한 빨치산 모집 활동을 했다. 박민영은 1926년 6·10 만세 운동에 참여했다가 일본 헌병에게 체포되어 3년간 복역한 후 출옥했다. 1930년 소련으로 귀환하여 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서 민족 및 식민지 문제 연구를 위한 학술 동맹에서 근무하였다. 1938년 숙청되어 사망하였다.